서울지하철공사는 올해 사당역과 선릉역 등 승객이 많은 역에 오는 9월까지 스크린도어를 갖출 계획이라고 27일 밝혔다.
또 ▲교대역과 강남역, 을지로입구역, 을지로3가역, 영등포구청역은 올해 말 ▲삼성역, 이대역, 강변역은 2006년 5월 ▲합정역과 신도림역은 2006년 6월까지 스크린도어 설치를 완료한다.
스크린도어는 유진&포스콘 측이 22년 동안 스크린도어를 통한 광고 수익을 가져가는 대신 모든 설치 비용을 부담한다.
지상역인 강변역은 1m 높이의 난간형(사진 왼쪽)이, 나머지 지하역은 천장까지 막혀 있는 폐쇄형(사진 오른쪽)이 설치된다. 가격은 난간형은 20억원, 폐쇄형은 30억원 정도. 시민들의 불편이 없도록 새벽에 공사가 이뤄지기 때문에 6개월 가까이 걸린다. 공사는 나머지 2호선은 2007년까지,1·3·4호선은 2010년까지 모든 역에 스크린도어 설치를 완료할 계획이다.
도시철도공사는 올해 말 김포공항역에 설치하는 등 5호선을 중심으로 점차 늘려나가기로 했다.
지하철공사 관계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면 선로 추락 사고가 예방되고 공기 질이 좋아질 뿐 아니라 소음 감소, 에너지 절약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