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노원구가 운영하는 웰빙형 어린이집인 ‘아가랑’이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쾌적한 보육시설과 저렴한 보육비는 말할 것도 없고, 보육교사 한명이 어린이 3명을 돌보는 선진적인 보육시스템을 운용하는 등 환경이 뛰어난 덕분이다. 이 때문에 현재 이곳에 들어가려는 대기자만도 정원에 2배에 가까운 100여명에 이른다.
노원구 월계 2동사무소 1층에 85평 규모로 최근 재개관한 ‘아가랑’은 정원이 59명이다.0세반·2세 미만반·2세반 등 3개반으로 나뉘어 운영된다. 공휴일과 일요일을 제외한 매일 오전 7시30분부터 오후 7시30분까지 12시간 맡아준다. 보육비는 한달에 22만 2000원이다.
■ “안심하고 맡기세요”
“이제 겨우 두살이 된 아이를 저렴한 비용에 안심하고 맡길 수 있어 좋아요.”서울 노원구 월계2동에 사는 주부 전은정(30)씨는 만 24개월된 둘째를 영아전담 구립어린이집인 ‘월계2동 아가랑 어린이집’에 맡기게 돼 육아걱정을 덜게 됐다. 지난달 건물 안팎을 새로 고쳐 다시 문을 연 ‘아가랑 어린이집’은 노원구(구청장 이기재)가 1997년부터 운영하고 있는 구립 영아전담 보육시설이다.
월계2동사무소 1층에 자리한 어린이집은 85평 규모로 모두 59명의 어린이가 0세반,2세미만반,2세반 등으로 나뉘어 지낸다.
●재개관 ‘월계2동 아가랑 어린이집’ 좋은 반응
영아용 좌변기로 앙증맞게 꾸며진 화장실과 공기청정기, 냉난방시설 등이 방마다 설치돼 있다. 내부 벽면과 바닥재, 놀이시설 등을 원목으로 꾸며 친환경적인 분위기가 풍긴다. 문턱을 없애고 방화시설을 갖추는 등 아이들의 안전에도 세심한 배려를 했다.
특히 ‘아가랑’이라는 이름과 건물 바깥의 현판은 지난해 노원구에 사는 6세미만의 어린이 300여명이 응모한 것 중 하나를 고른 것이라 더욱 눈길을 끈다.
보육교사와 부모가 함께 쓰는 ‘육아일기’를 통해 아이가 자라는 모습을 함께 공유할 수 있는 점도 이곳의 특징이다. 보육교사는 매일 어린이집에서 있었던 특징적인 일을 적어 아이를 찾으러 온 부모에게 건네주면 학부모가 집에서 읽고 의견이나 고민거리를 적어 다시 제출한다. 이 과정 속에서 아이의 발육상태나 교육정도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눌 수 있다. 또 한달에 한번 어린이집에서 있었던 모습을 디지털카메라로 찍어 부모의 전자메일로 전송해주기도 한다.
●하루 12시간씩 맡기고 한달 22만원
공휴일·일요일을 제외하면 매일 오전 7시30분부터 오후 7시30분까지 운영되며 보육비는 한달 22만2000원이다.
보육교사 한명이 세명의 아이를 돌보게 된다. 이 때문에 이곳에 들어가려는 대기자만 정원에 두배 가까운 100여명이다. 아가랑 어린이집 조선희(43) 원장은 “임신 4∼5개월째인데도 미리 신청하는 주부들도 많다.”며 “말문이 트인 3세 이상 어린이보다는 3세 미만의 영아만 전담하는 보육시설을 늘리는 것이 출산율 저하 문제의 해결책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원보다 대기자가 훨씬 많아
다른 영아전담 보육시설에도 정원보다 대기자 수가 훨씬 많아 정원을 늘리거나 추가로 영아전담 시설을 만들어달라는 학부모와 보육시설 측의 요구가 많은 상태다. 현재 서울시에는 구립 15개, 민영 47개 등 모두 62개의 영아전담 보육시설이 있고 국가와 서울시, 자치구가 공동으로 인건비의 80%를 지원해준다.
●구립·민영등 영아전담 보육시설 서울에 62곳
하지만 이같은 영아전담 보육시설은 주무부처인 여성부가 방침을 바꿔 추가 증설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시 관계자는 “최근 여성부가 영아전담 보육시설을 늘리는 대신 유치원 등 일반 보육시설에 영아반을 만들어 운영하는 쪽으로 정책을 바꿨다.”며 “중앙정부의 예산 지원없이 서울시와 자치구만 따로 영아전담 보육시설을 추가로 설치·운영하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기존 보육시설의 정원을 예외적으로 늘려줄 것을 여성부에 요청하는 한편 일반 보육시설이 자발적으로 영아반을 개설할 수 있도록 유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글 고금석기자 kskoh@seoul.co.kr
사진 오정식기자 oosing@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