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진흥왕이 고구려·백제와의 전쟁에서 승리해 칠보강(현재 임진강)이남의 영토를 차지한 뒤, 당시 이곳에 보광국사가 세운 절이 있었다고 해 붙여진 이름이 지금의 보광동이다.
보광동은 면적이 0.73㎢로 용산구의 3.3%를 차지하고 있으며 인구는 약 2만 2000명이다.
이곳에는 2007년이면 개교 100주년을 앞둔 오산중·고교가 있다. 역사책에도 자주 오르내리는 오산중·고교는 독립운동가 남강 이승훈 선생이 1907년 평안북도 정주에 설립한 뒤,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1956년 보광동으로 이전했다.
국방부 건물, 미군기지, 전쟁기념관 등 군(軍)이나 무(武)와 연관이 많은 용산구 전체적인 분위기를 반영하듯, 보광동에는 무인(武人)과 관련된 두 개의 부군당(府君堂·과거 각 관아에서 신령에게 제사 지내던 집)이 있다.
먼저 ‘웃당’이라고도 불리는 ‘김유신장군사당’이 오산중·고교 옆에 자리하고 있다. 김유신 장군이 고구려와의 전쟁에서 승리한 다음 이 마을 사람들을 후하게 대해 줬기 때문에 사람들이 사당을 짓고 신으로 모셨다고 한다.‘아랫당’은 무후묘(武侯廟)인데 보광동사무소에서 서쪽으로 50여m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다.
이곳은 특이하게도 중국의 제갈공명을 모시고 있다. 옛날 중국의 상인들이 이곳을 지나 중국 장안으로 들어가면서 제갈공명에 대한 ‘전설’을 전해준데서 유래해 사당을 짓고 모시게 됐다고 한다.
보광동은 미군기지 이전과 한강에 접해 있다는 장점 때문에 최근 주목을 받고 있다. 미군기지 이전을 동의 발전기회로 삼기 위해 강한 의욕을 보이고 있다. 이를 위해 동에서는 최선의 행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시에 주민과 공무원, 주민끼리의 유대감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우선 보광동에서는 ‘우리동네 가꾸기’사업의 일환으로 ‘이웃 칭찬하기’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동사무소 민원실에 이웃 칭찬하기 소개함을 마련해 두고 동민이면 누구나 친절한 이웃을 추천할 수 있다.
매월 최종 선정된 ‘칭찬왕’에게는 상금·상품 등이 주어지며 동사무소 입구에 사진과 칭찬 내용을 게시한다.
또 보광동에서는 각종 증명서나 문건을 발급받기 위해 동사무소를 찾는 주민들에게 좀더 나은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친절 팩스’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기존의 팩스 민원은 주민이 직접 동사무소를 방문해 신청해야 했으나 보광동에서는 전화 신청도 가능하다.
구 관계자는 “보광동의 노력이 비록 작은 것들이지만 시간이 지나면 ‘주민화합’‘행정신뢰’라는 큰 결과물로 돌아올 것”이라고 말했다.
김기용기자 kiyong@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