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일 오전 10시30분쯤 덕수궁 대한문 앞.‘왕궁 수문장 교대식’을 알리는 북소리가 울리자 관람객들이 하나둘 모여들었다. 평일 아침인데도 금세 70여명으로 불어났다. 무릎을 굽히지 않는 팔자보법(八字步法)으로 힘차게 행진하는 ‘조선시대 병사’들이 근엄한 목소리로 구령하자, 일본 관광객들은 ‘스고이’(좋다)를 연발하며 디지털 카메라의 셔터를 누르기에 여념이 없었다.
| 서울시 관광과 소속 공익근무요원과 전문연… 서울시 관광과 소속 공익근무요원과 전문연기자들로 구성된 조선시대 ‘왕궁 수문장 교대식’을 재현하는 수문군들이 서울광장에서 덕수궁 대한문 쪽으로 행진하고 있다.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
하루 3차례 열리는 교대식을 벌이는 조선시대 병사는 대부분 서울시 관광과 소속 공익근무요원들. 이들은 교대식이 끝나고 서울시청 별관 뒤 임시 막사인 컨테이너 박스로 돌아가 쉰다.40여평의 컨테이너 박스에 60명이 생활한다. 막사는 공익의 군기를 잡는 곳이기도 하다. 공익은 원래 같은 ‘이병’이지만, 여기서는 들어온 ‘짬밥’ 순에 따라 기수를 나눈다.2000년 1기가 시작돼 현재 막내 기수가 31기다. 신참들은 수문군(守門軍)을 담당했다가 기수(旗手)·엄고수(嚴鼓手) 등으로 ‘진급’한다.
이날 교대식을 마친 뒤 21기인 최상신(25·엄고수)씨는 아랫기수 10여명을 모아놓고 “옷 매무새가 비뚤어졌다.” “구령내는 목소리가 작았다.”고 지적하자, 신참들은 큰 목소리로 “네, 알겠습니다.”고 대답했다. 최씨는 “외국인들까지 보는 국제적인 전통공연이어서 한번의 실수도 용납되지 않는다.”며 “실수를 하면 퇴근시간 6시를 훨씬 넘겨서까지 같은 동작을 반복 연습 한다.”고 말했다. 공휴일에도 교대식을 치르고 덕수궁이 휴관하는 월요일에만 쉰다는 것도 ‘수문장 병사=민간 외교사절’이라는 사명감을 갖게 한다.
이들이 단순한 ‘공익요원’이 아니라 ‘특수요원’임을 강조하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선발요건도 까다로운 편이다. 서울시 관광과 공무원이 공익근무요원 훈련소에 직접 찾아가, 신장 170㎝ 이상에 수려한 외모의 요원을 수문장 교대식 병사로 스카우트해온다.
공익들이 ‘의무병’이라면 ‘직업군인’도 참여한다. 핵심 배역이면서 계급이 높은 수문장(守門將)과 이들을 보좌하는 참하관(參下官)은 시청에서 고용한 이벤트 업체의 ‘전문 연기자’들이다. 교대군을 이끌거나 순장패를 인수인계하는 등 나름대로 연기가 필요한 배역을 맡기 때문이다. 전통악기인 나발과 나각을 부는 취타수(吹打手)도 국악과 휴학생들이 담당한다.
수문장을 맡는 노성오(32)씨는 경력 5년차의 최고참이다. 교대식을 할 때마다 수염을 달아야 하는 탓에 일년내내 연고를 달고 산다. 여름철에는 옷을 겹겹이 껴입어야 하는 것도 고역이다. 노씨는 “힘든 일도 많지만 우리나라를 홍보하는 막중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데 보람을 느낀다.”며 “서울을 방문한 외국인들의 사진첩마다 내 얼굴이 있을 것이라는 생각을 하면 흐뭇하다.”고 말했다. 서울시 관광과 관계자는 “영국 런던에는 버킹검궁 근위병 교대식이 있듯 대한민국 서울에는 덕수궁 수문장 교대식이 있다.”며 “6일부터 인원을 33명에서 53명으로 늘리는 등 수문장 교대식을 서울에서 없어서는 안될 관광상품으로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김유영기자 carilips@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