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창현 중앙인사위원장이 유임된다는 것은 정부 안팎에서 어느 정도 소문나 있었다. 하지만 조 위원장이 현 정부에서 최고령자(70)이고, 국민의 정부때 임명됐기 때문에 ‘설마’라는 의문도 함께 가졌던 게 사실이다. 게다가 그동안 정부는 ‘연임 불가원칙’과 함께 ‘장관의 경우 2년만 하면 아이디어도 고갈되고 힘들어한다.’는 이유로 2년 넘는 장관들이 거의 교체돼 연임 가능성은 희박해 보였다. 이런 가운데 조 위원장의 유임은 대통령의 ‘절대적인’ 신임을 받았거나, 인사원칙의 변화를 의미하는 것 아니냐는 예측까지 나온다.
그가 임기제 기관장으로는 처음으로 유임되는 케이스여서 5∼6월에 집중된 공기업 사장 인사에도 변화가 있을 것이란 전망도 제기된다. 이와 관련, 청와대 김만수 대변인은 16일 “조 위원장이 학자 출신이면서도 경실련 공동대표, 정부혁신추진위원장 등 다양한 경력과 인사위원장으로 있으면서 보여준 성공적 리더십과 변화관리 역량이 높게 평가됐다.”고 연임 이유를 설명했다. 김 대변인은 “특히 고위공무원단제 시행을 앞두고 인사혁신 과제가 흔들림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전 공직사회의 역량을 결집하고 이끌어 나갈 수 있는 강력한 리더십을 기대하고 있다.”면서 “강직하고 원칙을 중시하면서도 유연한 자세로 재임중 설계한 인사혁신 과제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조 위원장은 이미 지난달 ‘연임’을 통보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간부들에게 “고위공무원단이 성공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당분간 계속 남아 있을 것 같다.”며 동요하지 말 것을 주문했다고 한다. 이 때문에 중앙인사위 공무원들은 차기 위원장 임명에 대비한 어떠한 준비도 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조 위원장은 지난 12일부터 해외 출장 중이다. 프랑스 등 고위공무원단과 관련된 선진국의 인사위원회 운용실태를 파악하기 위해서다.
조덕현기자 hyou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