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대전시에 따르면 가로수는 1970년대 미류나무의 개량종인 이탈리아포플러, 현사시, 수양버들 등이 주류를 이루다가 80년대 들어서는 목백합, 버즘나무 등으로 가로식재 수종이 변했다. 이는 대전시내 313개 노선 총 915㎞에 있는 가로수 11만 2000 그루를 시대별로 분석해 나온 특징이다.90년대에는 은행나무, 벚나무, 느티나무가 주종을 이뤘으며 2000년대 들어서는 이팝나무, 벚나무 및 은행나무, 메타세콰이어로 바뀌고 있다.
시 관계자는 “현사시나 버즘나무 등은 벌레가 생기고 솜털이 날려 사라지고 있는 추세이며 요즘에는 병해충에 강하고 미관이 수려한 수종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메타세콰이어의 경우 홍선기 전 시장이 좋아해 식재규모가 늘었다고 설명했다.
현재 심어져 있는 가로수의 비중을 보면 은행나무가 32%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이어 버즘나무 15%, 벚나무 12%, 이팝나무 10%, 단풍나무 6%, 느티나무 7%, 회화나무 6%, 목백합 4%, 메타세콰이어 3%, 기타 5%의 순으로 집계됐다.
대전시 구도심은 버즘나무가 대부분을 차지했고, 둔산과 노은 등 신도심은 은행나무, 이팝나무, 메타세콰이어 등이 주류를 이뤄 도심 축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반영했다. 상록수의 경우 겨울에도 잎이 무성해 그늘이 생기면서 빙판을 조성해 기피 수종이 되고 있다.
시 관계자는 “현재의 1열 가로수를 2열로 심고 나무 식재거리를 좁혀 도심의 숲을 울창하게 가꿔 나가겠다.”고 밝혔다.
대전 이천열기자 sky@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