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이곳에서 분양된 아파트 청약에서는 당초 예상을 깨고 ‘8·31대책’을 무색하게 할 정도로 인기를 끌었다. 전매제한 조치가 강화되기 전 아파트를 분양받으려는 투자자와 앞으로 개선될 교통 여건을 바라보고 실수요자들이 대거 몰렸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기반시설 매력·교통여건 개선 기대
이르면 다음달 동탄 신도시에서 마지막 물량이 나온다. 대우건설이 23∼33평형 978가구를 내놓는다. 동탄 대우푸르지오 분양가는 분양가상한제를 적용받아 평당 700만원대 초반에서 결정될 전망이다. 롯데건설도 1229가구를 분양한다. 한 차례 분양을 마쳤던 풍성주택도 추가로 438가구를 분양한다. 중견업체인 이지건설은 542가구, 우미건설도 1316가구를 내놓는다. 제일종건은 732가구를 분양하는 등 동탄 신도시 막바지 물량을 쏟아낸다.
신도시 아파트라는 점에서 기반시설을 잘 갖췄다는 매력을 지녔다. 다만 분양가 상한제를 적용받아 업체들이 공격적인 인테리어 경쟁은 벌이지 않을 전망이다. 다만 전용면적 25.7평 이하 아파트는 앞으로 5년간 분양권 전매가 금지되고 10년간 재당첨이 제한되기 때문에 철저하게 실수요 위주로 청약전략을 짜야 한다.
●봉담은 이달 말부터 청약
화성 봉담지구 주변 민간 아파트들도 본격적인 분양에 나섰다. 신창건설은 8·31대책의 악영향에도 불구하고 비바패밀리 아파트를 ‘과감하게’ 분양했다. 결과는 당초 예상을 넘어 3대1의 청약경쟁률을 기록했고 계약도 순조롭게 이뤄지고 있다. 주택업계는 부동산 시장 규제 때문에 과거와 같은 청약 열기는 기대할 수 없지만 입지여건이 빼어난 곳과 대단지 아파트는 수요자 중심의 청약시장은 크게 수그러들지 않은 것으로 보고 있다.
신창건설에 이어 봉담택지지구에서 동일토건이 중대형(44∼86평형)아파트 750가구를 내놓는다. 주공이 20∼30평형대의 중소형 위주의 공급인 반면 동일토건은 40평형 이상의 대형 평형으로 고급 아파트를 지을 예정이다. 이어 동문건설은 480가구를 분양할 계획이고, 쌍용건설도 490가구를 내놓을 예정이다. 임광토건도 1077가구 분양 채비를 갖췄다.
류찬희기자 chan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