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관세청이 지난 1월 정부부처 최초로 도입한 ‘개인별 학습계좌제’가 계기가 됐다. 학습계좌제는 고객 만족도 향상이라는 정책목표 달성과 업무 및 능력개발을 위한 상시학습활동 관리시스템으로 교육 1시간을 1포인트로 환산해 실시간 확인·관리된다.
포인트는 관세공무원교육원 등 공무원 또는 민간위탁교육과 사이버대학, 해외연수, 직장내교육(OJT) 등을 통해 쌓을 수 있다. 현장학습과 민원인 체험 프로그램, 혁신토론회 등은 결과보고서 제출로 인정을 받는다. 외국어 등 개별학습도 확인과정을 거쳐 가능하다.
다만 형평성을 들어 비교적 쉽게 이뤄지는 OJT와 액션러닝은 연 40시간으로 한정했고 해외연수는 하루 7시간만 인정하고 있다.
학습계좌제 실적은 이력관리뿐 아니라 부서 및 관리자 성과평가에도 반영되나 내부 갈등을 줄이기 위해 기관평가는 목표달성 직원만 대상으로 한다.
5∼9급이 평균 100시간을 넘긴 가운데 9급이 191시간으로 가장 높았고 4급 이상 간부들은 교육과정 부족 등으로 실적(78시간)이 상대적으로 저조했다. 학습 프로그램에서는 교육훈련(42%)과 OJT와 현장학습 등 직장교육(40%)이 대부분을 차지했지만 포럼 참석과 대학원 등 다양화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관세청은 우수자에 대해 해외연수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한편 내년부터 교육시간을 120∼150시간으로 확대하고 ‘교육컨설팅제’를 도입, 맞춤식 교육을 유도할 방침이다.
혁신기획관실 전창훈 사무관은 12일 “관세청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끊임없는 교육과 자기계발이 필요하다.”면서 “교육에 대한 관심이 활성화되면서 경쟁력을 높이는 성과로 이어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박승기기자 skpark@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