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년 주민자치센터 개설됐던 초기에는 고작 프로그램이 5개에 불과했었다. 그러나 4년이 지난 지금은 프로그램이 29개로 늘었다.
프로그램만 늘어난 것이 아니다. 그 내용을 들여다보면 불광3동이 ‘작지만 큰 동네’라는 사실을 금세 깨닫게 된다.
●양보다 더 알찬 운영
불광3동은 부자동네는 아니다. 서민층이 많이 몰려 사는 서민동네라고 할 수 있다. 그런 만큼 자치센터도 주민들 수준에 맞게 운용된다.
주민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문화, 여가생활, 교육 등의 프로그램이 주종을 이룬다. 이·미용 강좌나 어린이공부방, 어린이 한자 자격증 취득반 운용 등이 이를 잘 보여주고 있다.
이뿐만 아니다. 이들은 자치센터에서 배운 기술이나 경험을 나누며 산다. 발마사지 강좌는 대표적인 예이다. 정매자 강사와 수강생들은 2003년 강좌 개설 이래 수색복지관 노인 30명에게 매월 1회, 역촌사회복지관의 치매환자에게는 일주일에 1회 정기적으로 무료 자원봉사를 해오고 있다.
또 주민자치사업으로 동청사 주변에는 녹지공간을 확보했다. 자치센터를 이용하는 주민들의 편안한 휴식을 위해 계절별로 채소밭이나 꽃밭을 가꾼다. 주변에는 작은 연못도 만들었다.
이같은 불광3동의 ‘맞춤형 자치센터’는 은평구에서도 모범적인 사례이자 벤치마킹의 대상이라고 은평구 관계자는 말한다. 불광3동주민자치센터는 이외에 재즈교실도 운용 중이다.
●자치센터의 ‘꽃’ 공부방
불광3동 어린이공부방은 올 1월25일 개설됐다. 저소득층 주민의 자녀 가운데 생활이 어려워 다른 아이들처럼 학원에 갈 형편이 안 되고, 자칫 공부에 취미를 잃어가는 초등학생들을 돕기 위한 것이다.
월요일에서 금요일까지 5일 동안 매일 오후 2시30분부터 5시까지 개방되는 어린이공부방에서는 학교 숙제를 할 수 있는 자율 공부 시간과 교사의 과목별 특강으로 이뤄져 있다.
이 가운데 특강은 자원봉사자 교사들이 맡는다. 대부분 학습지도 경험이 있는 주민들이다. 초기에는 이들 교사 3명이 특강을 맡았다.
학생은 사회복지담당자가 초등학교 1∼6학년생 자녀를 둔 저소득층 주민을 대상으로 면담을 통해 뽑았다. 이렇게 뽑은 학생이 7명이었다. 하지만 1년여가 다 돼가는 지금 불광3동 어린이 놀이방 과외반(?)은 교사 5명에 학생은 10여명으로 늘어났다.
자원봉사자 교사로 활동 중인 정숙희(불광3동새마을부녀회장)씨는 “말이 없고 공부에 열의를 보이지 않던 아이들이 책을 가까이 하고 친구들과 어울리면서 자신감을 되찾고 성격까지 밝아진 것을 느낄 수 있다.”면서 “교사로서 큰 보람을 느낀다.”고 말했다. 불광3동자치센터는 이처럼 어린이놀이방에 대한 호응이 높아지자 협소한 어린이공부방을 확장할 계획이다.
김성곤기자 sunggone@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