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교과목으로는 생리학, 해부학, 한방병리학, 본초학, 한방진단학, 한방물리치료학, 침구학, 경락마사지학, 재활마사지학, 식품영양학, 식이조절학, 비만관리학, 생식요법, 명상요법, 음악요법, 요가, 기공체조 등이 개설돼 있다.
졸업 후 진로는 다양한 편이다. 노인건강산업체나 스포츠 클리닉 센터의 전문 요원, 운동처방사, 병·의원 건강관리사, 피부관리사 등으로 진출하거나, 건강요법센터를 운영할 수도 있다. 환경기사나 산업위생기사, 위생사 등의 자격증을 따서 산업체와 국가기관의 환경 및 보건전문가로 활동하기도 한다.
전공이 설치된 곳은 전주대 대체건강관리학부와 광주여대, 아시아대(경북 경산)의 대체요법학과, 고신대(부산)의 보건환경학부 등이 있다. 비슷한 전공으로는 남부대(광주) 동양대체요법학과의 동양대체요법 전공이 있다.
김재천기자 patric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