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경산시에 따르면 경산이 대도시인 대구와 인접하면서도 상대적으로 중·고교의 교육환경이 워낙 열악해 올해부터 이를 획기적으로 개선해 나가기로 했다.
경산은 그동안 13개 대학이 몰린 대학도시라는 위상과는 달리 이렇다 할 명문 중·고교가 없어 해마다 초등학생 가운데 5%(1000여명) 정도가 5∼6학년때 인근 대구 수성구로 이사하거나 위장전입하는 악순환을 거듭해 왔다. 이에 따라 시는 이달중 각계 인사 30∼50명으로 ‘재단법인 경산시 장학회(가칭)’ 설립을 위한 준비위원회를 구성키로 했다.
시는 올해부터 오는 2015년까지 총 100억원의 장학기금을 조성, 장학사업과 명문 중·고교 육성을 위한 교육환경 개선 등 다양한 사업을 펴나가기로 했다. 시는 또 지역대학과 24개 중·고교간의 자매결연을 알선, 학기중에 대학의 영어권 원어민 강사 70여명을 활용한 특기 적성교육을 할 계획이다. 방학 중엔 영어캠프를 운영하고 영어 웅변·합창대회 등 영어 발표력 기회를 늘리기로 했다.
|
이런 분위기에 맞춰 내년 3월에는 경산지역 인재유출 예방과 우수 교육환경 조성을 위해 유치한 특목고교가 문을 연다. 구미와 포항에 이어 경북지역 23개 시·군 가운데서 3번째다. 학교법인 새한학원이 오는 6월까지 총 사업비 272억원을 들여 경산시 갑제동 부지 5만 3800여㎡에 건립, 경북교육청에 기부할 새한고등학교(가칭)는 학년당 6학급, 학급당 20명씩 모두 360명 규모이다.
시는 앞으로 이 학교 부지내에 특목중학교를 설치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경북도교육청과 협의할 방침이다. 최병국 경산시장은 “올해 지역 고교들이 사상 처음으로 서울대에 11명을 진학시킨 점을 감안할 때 앞으로 적극 뒷받침을 할 경우 명문 중·고교 육성을 확신한다.”면서 “명문학교 육성을 위한 각종 지원책을 마련해 추진하는 동시에 ‘내 자녀 내 고장 학교 보내기 운동’도 대대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도시내에 5개 이상의 대학을 보유한 경산·천안·전주시와 일부 정치권은 올해안에 가칭 ‘학원도시 지원에 관한 법률(안)’이 입법 추진될 수 있도록 공동으로 노력키로 했다. 이 법률(안)은 다수 대학 및 연구시설을 보유한 중소도시를 학원도시로 지정해 기반시설에 소요되는 예산을 정부가 지원토록 하고 이를 통해 지방대학 경쟁력 강화와 지역의 우수인재 양성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경산 김상화기자 shkim@seoul.co.kr
2006-2-17 0:0:0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