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취임 일성으로 여성을 챙기겠다던 한 총리가 이번 인사가 끝난 뒤 ‘여성 인재풀의 한계’를 들고 나오자 여성계는 우려를 표시하고 있다. 헌정 사상 첫 여성 총리라는 기대속에 적극적인 보호자 역할을 자임하던 여성계는 이번 인사를 계기로 아쉬움을 표시하며 조금씩 돌아서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권미혁 여성민우회 공동대표는 “여성을 등용하기 어려운 인사 시스템에서는 사람이 없다고 할 것이 아니라 보다 적극적으로 여성 인재를 발굴해 내각에 진출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같은 여성계의 기류를 의식한 듯 김석환 총리 공보수석은 차관급 인사 직후 “총리가 여성 기용을 위해 노력을 기울였지만 여성 인적 자원이 풍부하지 못해 여성이 많이 진출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정책전문성, 일관성, 내부 발탁 우선 등을 고려하면 차관급 자리에 앉힐 만한 여성 인사가 별로 없었다는 설명이다. 그러면서 김홍남 국립민속박물관장의 국립중앙박물관장 발탁을 한 총리의 추천이 반영된 대표적 케이스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여성계는 “쓰려고 해도 사람이 없다.”던 기존의 인식을 한 총리가 그대로 따라가고 있는 것이 아니냐며 걱정하고 있다. 여성계는 특히 “김 중앙박물관장은 2003년에도 관장 후보에 복수 추천됐고, 이번에는 처음부터 발탁이 유력했던 인물”이라면서 “총리가 엉뚱한 생색을 내고 있다.”고 비난했다.
최광숙기자 bor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