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매출 떨어진 소상공인 ‘공유재산’ 임대료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셜록현준·아영이네 행복주택…서울 인플루언서 어워즈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AI 역량 키우는 서초… 함께 동화 만들어요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서대문구, 15일 자율주행버스 운행 개시…“누구나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조선 왕실 속살 “다 보이네”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조선의 파르테논 신전

종묘는 왕의 위패를 모시는 곳이다. 그리스 아테네에 파르테논 신전처럼 ‘조상신’을 모신 곳이다. 태조 이성계는 한양으로 천도한 뒤 종묘를 가장 먼저 지었다.

입장료 1000원(어른)을 내고 종묘에 들어서면 유네스코 ‘세계유산등록비’가 눈에 띈다. 조 해설사는 “일제 침략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면서도 제례 행사를 600년간 지속한 문화적 가치를 높게 평가받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종묘대제는 매년 5월 첫째 일요일에 봉행된다. 제사상에는 익히지 않은 곡식과 육류가 올라간다. 산짐승을 희생양으로 삼는 고대 의식이 왕실에 남아있었기 때문이란다.

종묘의 중심건물인 정전으로 발길을 옮기다 보면 끝없이 이어진 돌길을 만난다. 가운데 길은 신이 다니는 신향로(神香路), 오른쪽은 임금이 다니는 어로(御路), 왼쪽은 세자로(世子路)다. 정전 정문 쪽으로는 신향로만 나 있다. 어로와 세자로는 왕이 머물던 어숙실로 이어진다. 왕과 왕비의 신주는 정전과 영년전에 나뉘어 있다. 통치기간이 길고 업적이 많은 왕의 위패는 정전(49위)에, 나머지는 영년전(34위)에 있다.

장희빈과 혜경궁 홍씨를 만나다.

낙엽을 밟으며 산책로를 거닐다 보면 창경궁 연결문이 나온다. 입장료는 따로 없다. 현존하는 궁궐의 법전(정전) 중 가장 오래된 명전전이 보인다. 임진왜란 때 불타고 1616년 광해군 때 재건됐다. 조 해설사는 “당시 중국이 후금, 청왕조로 넘어가며 혼란에 빠지자 광해군은 조선의 독립을 꿈꿨다.”면서 “황제의 색깔인 황색으로 문틀을 꾸민 것이 그 증거”라고 말했다. 이후 조선왕조의 힘이 약해지자 황색을 일부 벗겨냈지만 흔적은 남아 있다.

바로 옆 문정전은 슬픈 역사를 간직하고 있다. 사도세자가 이 곳에서 뒤주에 갇혀 목숨을 잃었다. 아직도 사도세자의 울부짖음이 들리는 듯 하다.

밖으로 나오면 왕비가 생활하던 통명전이다. 숙종 때 장희빈이 이곳에 흉물을 묻어 인현왕후를 저주하다 사약을 받았다. 맞은 편 영춘허·집복헌은 정조가 거처하던 곳이다. 조 해설사는 “정조는 아침마다 어머니 혜경궁 홍씨에게 안부 편지를 보냈다.”면서 “어머니에게 답신이 와야 하루 일과를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문화해설은 언덕을 넘어 춘당지에서 끝난다. 임금이 경작하던 권농장을 1909년 일제가 일본식 정원으로 꾸몄단다.

동행한 광명고교 송현경(30)선생님은 역사의 흔적이 사라져 가는 것을 안타까워했다. 그는 “오늘 돌아보니 낡았다고 전통기법으로 만들어진 옛 기와를 공장에서 찍어낸 새 것으로 바꾸고, 옛 문양에 페인트를 덧칠하고 있다.”면서 “작은 것이라도 소중히 보존하는 자세가 아쉽다.”고 말했다.

전문 해설사의 설명을 들으며 전통문화 답사를 원하는 학생과 시민은 관광희망일 3일 전에 서울시 문화관광 홈페이지(www.visitseoul.net)를 방문, 예약하면 된다. 한국어·영어·일본어·중국어로 문화유산 해설을 들을 수 있다.

정은주기자 ejung@seoul.co.kr

2006-10-13 0:0:0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Leaders Today

서울, 규제 풀어 민간임대주택 활성화

오피스텔 접도조건 대폭 완화 민간사업자 금융 지원도 강화

세계 청년 150명, 은평서 미래 꿈꾼다

27~29일 IFWY 파이널 컨퍼런스

‘이산가족 새 고향’ 영등포가 품은 70년[현장 행

첫 위문 행사 연 최호권 구청장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