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사법시험과 공인회계사시험 등을 통과한 전문자격자들이 급증하면서 더 이상 취업난의 ‘무풍지대’에 안주하기 어렵게 됐다.
생존율이 갈수록 떨어지면서 ‘엑소더스(대탈출)’현상이 생겨난 것이다. 정부 부처들은 ‘사(士)’자들의 쇄도에 채용 절차를 강화하는 등 다소 느긋한 입장이다.
기획예산처는 1일 변호사 8명, 회계사 5명 등 13명을 5급으로 특별 채용하는데 변호사 82명, 회계사 104명 등 모두 186명이 원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평균 경쟁률만 14대 1이 넘는다.
재정경제부도 회계사 2명을 선발하는데,62명의 응시자가 몰려 무려 31대 1의 경쟁률을 나타냈다.10명을 뽑는 변호사 특채에는 119명이 지원을 마쳤다. 각각 4명의 변호사를 특채할 예정인 감사원과 노동부에도 104명,40명이 응시했다.
공직의 문을 두드리는 전문자격증 소지자들이 늘면서 각 부처는 ‘옥석 고르기’에 분주한 모습이다.
기획처의 경우 응시자들에게 100쪽 분량의 보고서를 3쪽으로 요약하도록 하는 한편,3∼4개 이슈를 제시한 뒤 해결 방안을 담은 4∼5쪽 정도의 정책보고서를 제출하도록 했다.
기획처 관계자는 “필요한 인력을 신속히 채용하고, 인력 구성을 다양화하기 위해 변호사·회계사 특채를 진행하고 있다.”면서 “업무수행 능력을 철저히 검증하기 위해 채용절차를 강화한 것”이라고 말했다.
감사원도 당초 하루 동안 실시했던 최종 면접시험 일정을 지난 30∼31일 이틀간 나눠 실시했다. 이들을 반기는 분위기도 역력하다.
재경부 관계자는 “변호사·회계사들은 금융·세제 분야에서 경험을 쌓고, 정부 입장에서는 민간전문가 영입을 통해 인력구조의 다양화를 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노동부 관계자도 “노동관련법이 40여개에 이르는 데다 법률 해석에 대한 논란도 갈수록 증가하고 있어 정부부처 내에서도 법률전문가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
2007-2-2 0:0:0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