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리핑제 도입 3년6개월 만에 기자실까지 폐지할 것인지 여부를 놓고 정부가 어떤 결론을 내릴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홍보처는 시민단체와 학계 등의 여론 수렴을 거쳐 늦어도 다음주에 실태조사 결과 보고서를 언론에 공개할 예정이다. 그에 따라 언론통제 논란이 또다시 불거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어 파장이 예고되고 있다.
●OECD 28개국, 정부 부처 40여개 브리핑실 조사
이번 실태 조사에서는 미국, 영국, 독일, 일본 등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8개국을 대상으로 브리핑제의 운영 실태를 조사했다.
국내는 서울 세종로 정부중앙청사, 과천청사 등의 브리핑실 40여곳을 대상으로 기자 출신을 포함한 조사단이 직접 브리핑실을 찾아 이뤄졌다. 이 가운데는 검찰청, 서울시 경찰청 등이 포함됐고, 일선 경찰서 중 서울 종로경찰서가 대표 케이스에 들었다.
조사 결과 정부 부처 40여개 브리핑실에 400명이 넘는 기자가 등록돼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20개 이상의 부처에서 주1회 이상 정례 브리핑을 하고 있으며, 개점 휴업 상태인 곳도 상당한 것으로 파악됐다. 브리핑실이 잘 운영되는 곳으로는 국방부와 외교통상부 등을 꼽았다.
●“브리핑실, 정부출입기자 너무 많아”
정부는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출입기자제도 폐지 ▲브리핑실 축소 ▲군소 언론 지원 등을 전반적으로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국정홍보처 한 고위 관계자는 “400명이면 신문사 편집국 1∼2개 규모”라면서 “너무 많은 기자들이 정부 부처에 편중돼 있다.”고 말했다.
이어 “언론 발전을 위해서라도 숫자를 줄이려면 출입기자제도를 폐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외국의 경우를 예로 들면서 “미국은 백악관 등 몇곳에만 브리핑실이 있고 독일은 아예 외부 프레스센터에서만 브리핑을 한다.”면서 “우리나라도 브리핑실 숫자를 줄여야 하는데 방법은 더 검토를 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우리나라보다 더 폐쇄적인 기자실 시스템을 운용 중인 일본의 케이스에 대해서는 “참고할 만한 대상이 아니다.”라고 잘라 말했다.
일부 인터넷 등 마이너 언론에 대한 지원도 검토 중임을 시사했다.
홍보처의 또다른 관계자는 “노무현 대통령이 실태조사를 지시한 것도 다양한 관점을 가진 많은 언론이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것”이라면서 “자본이 없거나 사세가 기울어 브리핑에 참석하지 못하는 언론들도 많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함량 미달인 언론은 등록기자 명단에서 솎아내는 등의 정리 작업이 필요할 것”이라면서 “기자실 폐지보다는 기자들이 취재할 수 있는 최소한의 여건은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설영기자 snow0@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