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숙원사업 1차 관문 통과
중앙도시계획위원회는 지난 19일 본회의를 열어 마산시가 제출한 도시기본계획안을 가결하면서 ‘창포만·난포만 개발시 친환경적인 개발이 되도록 하고 공유수면매립 기본계획 등 관계법령상 진행이 불가할 시에는 그대로 보존할 것’을 조건으로 달았다.
황철곤 마산시장은 이날 회의장에 참석해 “마산은 배산임해의 입지여건으로 개발용지가 절대적으로 부족해 산업용지 공급이 어렵다.”고 설명한 뒤 “시민들이 직장을 찾아 떠나는 바람에 도시공동화가 심각한 실정이므로 산업기반 조성이 절실하다.”며 심의위원들을 설득한 것으로 전해졌다.
마산은 70년대까지 국내 수출전진기지로서 영화를 누렸으나 공장용지난을 겪으면서 상당수 기업들이 빠져 나갔다. 근로자들도 직장을 따라 인근 창원과 김해 등지로 이사하면서 지역경제가 급격히 침체되자 1997년부터 창포만 개발을 계획했다.
●환경단체 설득 등 난제
이번 도시계획안 통과로 마산의 재도약 발판이 마련됐지만 창포·난포만 개발까지는 넘어야 할 난관이 적지 않다.
우선 지역 환경단체를 설득하기가 쉽지 않다. 마창환경운동연합은 이날 “창포만 갯벌과 천혜의 절경을 자랑하는 난포만 매립계획은 마산의 정체성과 발전전망과 관련해서도 합리적이지 않다.”고 밝혀 험로를 예고했다. 뿐만 아니라 도시관리계획과 지구지정심의, 공동수면 매립계획 등은 별도 승인을 받아야 한다. 특히 창포만은 수자원보호구역 해제 절차를 밟아야 하므로 어려움이 예상된다.
●창포산단 연간 5조원 생산유발 효과
시는 2016년까지 사업비 3조 5000억원으로 창포만 990㎡를 매립,‘창포임해산업단지’ 1980만㎡를 조성할 계획이다. 시는 이 단지에 항만·물류·조선기자재 업종을 유치하면 10만여명의 고용창출 효과와 연간 5조원의 생산유발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오는 11월쯤 타당성 조사 용역을 마무리하고, 내년 6월 기본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그리고 난포만에는 면적 390만㎡에 달하는 조선산업단지를 조성할 계획이다. 공유수면 162만㎡를 매립하는 등 2014년까지 7700억원이 투입된다.
다음달 말 타당성 조사 용역결과가 나오면 9월부터 지구지정 용역에 착수할 예정이다.
난포만은 수자원보호구역이 아닌 데다 수심도 9∼15m로 조선소 입지로는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으며, 인력확보가 용이해 STX조선 등이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시는 난포조선산업단지와 수정만 조선기자재단지를 연계한 조선산업클러스터가 조성되면 8만여명의 고용효과와 연간 4조원의 생산유발 효과를 가져오며,5000억원의 부가가치가 생길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창원 이정규기자 jeong@seoul.co.kr
2007-7-21 0:0:0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