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주성 실장은 세종문화회관 사장 이전에 코오롱 그룹에서 33년을 일한 전문경영인(CEO) 출신이다. 구조조정 전문가이기도 하다.2005년 12월 당시 서울시장이던 이 대통령이 만성적자에 허덕이던 세종문화회관을 ‘재건’하기 위해 발탁한 인사가 코오롱 부회장으로 있던 김 실장이다. 코오롱 그룹 구조조정본부 사장을 지낸 그는 그룹 안에서 ‘해결사’로 통했다고 한다.‘해결하기 힘든 일이 있으면 김주성을 보내라.’는 말이 나돌 정도였다. 지난 1994년에는 노사문제가 심각했던 코오롱 구미공장장으로 있으면서 노조원의 파업 찬반투표를 2년 연속 부결로 이끄는 등 노사문제에 정통하다는 평가를 받았다.1997년 외환 위기 이후에는 그룹구조조정 본부장으로서 사업구조를 성공적으로 재편하기도 했다. 세종문화회관 사장으로 취임한 뒤에도 비효율적으로 운영돼 온 컨벤션홀 등 각종 시설을 리모델링하고 대관료를 현실화해 수익을 높였다. 지난해 옥외 주차장을 ‘예술의 정원’으로 바꾼 것도 그의 작품이다.
이 대통령이 그를 중용한 데는 이같은 구조개혁의 전문성 외에 코오롱 부회장 출신인 친형 이상득 국회 부의장과의 오랜 인연도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측근인 김성호 국정원장 내정자와 함께 국정원 개혁의 ‘쌍두마차’로 포진시켜 국정원 내부 기강을 다잡고 방만한 구조와 운영을 개혁하겠다는 구상이 담겨 있다는 것이다. 다만 김영삼 전 대통령의 차남 김현철씨의 측근인 김기섭 전 기조실장이 당시 안기부 내부의 질서를 흩뜨리는 등 폐해가 적지 않았다는 점에서 친정체제 강화에 따른 후유증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제기된다.
▲61·경북 봉화 ▲연세대 철학과 ▲코오롱 회장 비서실장 ▲코오롱 기획조정실장 ▲코오롱 구조조정본부 사장 ▲세종문화회관 사장
진경호기자 jade@seoul.co.kr
2008-3-11 0:0:0 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