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들 녹색 쉼터로 탈바꿈
무허가 시설물과 불법 경작, 쓰레기 투기로 몸살을 앓아온 서울 관악구의 ‘동네 뒷산’들이 숲과 체육·조망공간이 어우러진 주민들의 녹색쉼터로 거듭난다. 신림 9·10·12동 등 뒷산 3곳을 녹지로 만드는 공원화사업이 시작됐기 때문이다. 관악구는 올해 안으로 공원조성을 마무리짓기 위해 보상비와 공사 예산 143억원을 모두 확보했다. 신림 12동 뒷산은 이미 설계까지 마친 상태. 나머지 두 곳도 이달 토지 보상을 시작해 6월 공사에 들어간다.●관리 손길 부족… 30년 동안 방치
10일 관악구 온수진 공원팀장과 함께 신림 12동 산124를 찾았다. 주민들 사이에선 ‘법원단지 뒷산’으로 불리는 곳이다.
완만하게 뻗은 남쪽 능선을 통해 장군봉·삼성산·연주대까지 이어지는 어엿한 관악의 연봉(連峯)이지만 30년 넘게 관리의 손길이 미치지 못한 탓에 탐욕과 이기심이 만들어 낸 생채기들로 산등성이 곳곳은 흉한 속살을 드러내고 있었다.
면적이 1000㎡가 넘는 테니스장이 정상부의 턱밑에서 버젓이 영업 중인가 하면, 숲을 밀어낸 자리에 쇠기둥을 박고 차폐막을 두른 배드민턴장이 능선 중앙을 20년 넘게 무단 점유하고 있다.
매일 이곳으로 산책을 나온다는 주민 정선순(72·신림12동)씨는 “힘들게 산을 올라 와도 배드민턴장이 시야를 가로막아 답답했다.”면서 “그동안 여러 구청장들이 철거하려다 실패했는데, 이번엔 정말 없앨 자신이 있는 거냐.”며 조심스레 되물었다.
능선을 따라 40분쯤 걸어 도착한 신림 10동 255의265. 관악산 약수암 들머리인 이 언덕은 한 때 무성했던 초목들이 야금야금 파들어간 텃밭에 밀려 9부 능선에서 ‘최후의 방어선’을 치고 있다.
이곳은 테니스장 같은 무허가 시설물보다는 주민들의 불법 경작에 따른 토양 유실이 심각한 곳이다. 대부분 사유지인 데다 경작이 오래 전부터 관행적으로 이뤄져 주기적인 단속에도 좀체 근절되지 않고 있다. 온 팀장은 “6월쯤 텃밭과 불법 시설물에 대한 철거를 시작할 것”이라면서 “내년 봄이면 버려졌던 뒷산이 어엿한 도심의 근린숲으로 되살아 난 기적의 현장을 목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만만해 했다.
●“내년 봄엔 근린숲으로 되살아날 것”
구는 상반기 토지보상을 마치는 대로 공사에 들어가 텃밭으로 훼손된 평지는 벤치 등 휴식시설과 운동기구를 설치하고 등산로를 체계적으로 정비할 계획이다.
대규모 불법 운동시설과 건축물 자재상 등이 들어서 훼손 정도가 심한 신림 12동의 법원단지 뒷산은 테니스·배드민턴장의 규모를 줄여 하단부로 옮기고 소나무·자산홍 등 크고 작은 18종의 나무 1만여 그루를 심어 자연학습장으로 활용한다는 구상이다.
이세영기자 sylee@seoul.co.kr
2008-4-11 0:0:0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