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보안관리실태 평가는 퇴직공무원의 내부정보 유출 여부를 비롯해 국가기록원의 대통령기록관리, 국가홈페이지의 개인정보 유출, 개인 이메일과 내부 해킹방지시스템 등 전방위에 걸쳐 이뤄질 예정이다.
국정원은 43개 중앙행정기관을 대상으로 보안정책, 비밀관리, 침해사고 대응체제 등 8개 분야,135개 항목에 대한 관리실태를 평가하기로 했다고 9일 밝혔다.
국정원은 이달 말까지 보유정보의 중요도에 따라 보안등급(가∼다)을 분류한 뒤, 다음달 3∼7일 기관별 자체평가와 현지실사를 끝낼 계획이다. 지방자치단체는 다음달부터 진행되며 결과는 내년 1월에 나온다. 이번 결과는 국무총리실 정부업무평가에 반영돼 지자체의 경우 교부금 등에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현지 실사에는 민간전문가도 투입돼 예년보다 강도 높게 진행된다. 외부인 출입통제시스템 가동과 하드디스크·휴대저장장치(USB) 등 비인가 장비 사용, 전자출입증, 보안방지백신 설치 등이 정밀 점검 대상이다.
국정원 관계자는 “기관들의 자체평가는 보안성이 높다는 자의적 판단이 많다.”면서 “이미 있는 규정이 제대로 지켜지고 있는지 등 ‘실행 여부’에 초점을 맞춰 135개 전 항목을 꼼꼼히 살필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같은 방침은 국정원이 2006년부터 보안관리평가를 실시했지만 기관들의 개선 흔적이 전무한 데 따른 것.
행정안전부가 제출한 국감자료에 따르면 2년간 공공기관 홈페이지 개인정보 노출은 2624개 기관,18만 2666건으로 매년 늘고 있지만, 주요 원인이 해킹이 아닌 취약 보안시스템(49%)과 관리자 부주의(36%) 등 운영상 문제로 드러났다.
강주리기자 jurik@seoul.co.kr
2008-10-10 0:0:0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