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고된 부실 도마에
서울시의 외국인 관광객 연 1200만명 유치를 위해 민·관 조직으로 설립된 ‘서울관광마케팅 주식회사’가 방만한 경영과 부진한 사업으로 표류하고 있다.●적자에 또 30억원 추가 출자
서울시가 70억원을 투자한 회사에서 지난해 20억원의 적자가 발생, 예산낭비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인천시와 경기도, 제주도가 관광산업 발전을 위해 산하 관광공사를 잇달아 설립하자 서울시는 아예 민관출자 회사를 만들었으나 결과적으로 이들의 전철을 되풀이하고 있는 꼴이다.
출범 한 돌을 맞은 서울관광마케팅㈜은 서울시(지분율 48.14%)와 시티드림㈜, 롯데관광개발㈜ 등 민간기업 16개사가 참여한 민·관 합작기업이다. 공공기관의 경직성을 탈피하고 민간의 유연성을 살리자는 취지에서 지난해 2월 설립됐다.
하지만 이 회사는 자체 수익모델을 발굴하지 못하고 대부분의 수입을 안정적인 시 위탁사업에 의존하고 있다. 그럼에도 첫해 20억원의 적자를 내자 서울시는 추가로 30억원의 자본출자를 했다. 대주주인 서울시는 지난해 말 열린 이사회에서 신규 인력 11명의 증원을 승인하고, 자본금 증액과 별도로 인건비의 대부분을 세금으로 보전해 줬다. 이 때문에 지난 2월26일 열린 주총에서는 일부 주주들이 “증원 인력의 업무가 중복되고, 직원 연봉이 과다하게 책정됐다.”며 거세게 반발하기도 했다.
서울시가 이수정 시의회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서울관광마케팅㈜은 올해 임직원 57명의 인건비를 지난해보다 13억여원 늘어난 29억 8000만원(평균 연봉 5228만원)으로 편성했다. 또 직원들의 시간외근무수당과 1년간 사무실 이사 비용 등에 각각 6억원을 사용했다. 공모직 사장 등 임원3명의 비서도 2명으로 늘렸다.
그럼에도 이 회사는 서울시 위탁사업의 평균 집행률이 64.1%(지난해 10월 기준)에 불과했다. 맡긴 일도 제대로 이행하지 못한 것이다.
●위탁사업 집행도 64% 그쳐
서울시가 지난해 서울 연희동에 8억원을 들여 지은 중국음식점 ‘동챠오’의 운영권도 넘겨받았으나 적자를 기록했다. 반면 지난해 우리나라를 찾은 중국인 관광객은 전년보다 12.2% 증가한 116만명에 이르렀다.
이 회사는 또 ‘문화콘텐츠 투자 및 육성 프로젝트’에 5억원의 예산을 편성했으나 상당수 투자와 공연이 연기되거나 보류됐다. 한·중·일·영 등 4개 언어로 지원되는 ‘디지털 음식메뉴 콘솔 개발사업’도 이 프로그램을 채택한 시내 음식점을 찾아보기 어렵다.
그럼에도 올해 난지캠프장·한강수영장·한식집팔각정·한강조망카페 등의 위탁경영 계획을 내놓았다. 결국 세금으로 운영되는 회사가 시민을 상대로 돈벌이를 하다 적자가 나면 추가 지원을 요청하는 꼴이 반복되고 있는 셈이다. 한편 경기관광공사도 2002년 설립 이후 계속 적자를 내고 있다.
배재대 정강환 관광이벤트경영학과 교수는 “민·관 합작 관광회사는 자치단체의 영향을 받더라도 창의적이고 효율적인 사업운영 능력이 요구된다.”면서 “주주와 시민들이 경영능력을 감시·검증할 수 있는 시스템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은주기자 erin@seoul.co.kr
2009-4-23 0:0:0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