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제주도의회에 따르면 도의회는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올레 이용 및 관리조례안’ 발의를 추진하고 있다. 도의회는 “2007년 시작된 제주올레 열풍으로 많은 사람들이 제주올레를 방문하고 있지만 쓰레기 문제, 편의시설 부족 등 많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며 “제주관광 발전 등을 위해 조례안 발의를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도의회가 발의 예정인 조례안에 따르면 제주올레는 제주도지사가 관리하며 도지사는 제주올레가 공공의 목적이나 천재지변 등 기타 사유로 존치할 수 없다고 인정될 때에는 명칭, 위치, 구간 등 필요한 사항에 대해 폐지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특히 도지사는 제주올레의 자연환경 보존과 오염방지를 위해 이용객들로부터 관람료를 징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징수한 수수료는 제주올레 관련 공공시설의 유지 관리 및 오염방지를 위한 폐기물처리 비용에 사용하도록 했다. 그러나 수수료를 징수할 경우 제주올레를 찾는 관광객들로부터 거센 반발을 살 것으로 예상된다.
(사)제주올레 서명숙 이사장은 “마을 주민들이 사유지와 마을 공동목장을 개방해 제주올레 코스를 개발했는데 어떻게 행정당국이 이용료를 부과할 수 있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제주올레코스는 현재 15개 코스가 개발돼 있다.
제주 황경근기자 kkhwang@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