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당국 수요 예측 빗나간 탓”
26일 국회 교육과학기술위 박보환(한나라당) 의원이 분석한 자료와 해당 지역 주민에 따르면 지난해 5개 신도시의 초·중학교 학급수는 학교당 평균 15.2개가 줄었다. 반면 동탄신도시(초교 10개교, 중학교 5개교)는 126개 학급(초등 94학급, 중학교 32학급)이 증가해 학교당 평균 9~10학급을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수는 5개 신도시별로 평균 1384명 감소한 반면 동탄신도시는 2775명이 늘었다. 당초 230개였던 학급이 324학급으로 94학급 증가했다. 중학교도 1308명이 늘어나면서 78학급에서 110학급으로 32학급을 추가로 늘렸다.
동탄지역 초등학교의 학급당 학생수는 지난해 38명에서 올해 35.6명으로 줄었으나 전국 평균 27.8명에 비하면 무려 7.8명이, 도내 신도시 평균인 27.1명보다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1인당 학생수도 전국 19.8명보다 9.4명이나 많은 29.2명이다.
●2012년 입주예정 동탄2신도시도 우려
학교 설립이 제자리에 머물고 있는 상태에서 학생수가 늘어나다 보니 학교마다 6~7개의 교실을 증축하거나 급식실, 컴퓨터실, 예체능실 등 특별실을 일반 학급으로 바꿔 학생을 수용하고 있다.
42개 학급으로 출발한 Y초등학교는 학생수가 늘면서 3개 교실을 무리하게 늘렸다. 이 학교 학부모 전모(39·공무원)씨는 “교실이 모자라자 컴퓨터실을 일반 교실로 바꿔 운영하는 바람에 아이들의 불만이 많다.”고 말했다.
또 급식시설이 부족해지면서 초등학교 가운데 12.4%인 40개 학급이 오후 1시 이후부터 급식을 하고 있고, 이중 4개 학급은 오후 1시20분이 넘어서야 급식이 이뤄지고 있다.
이와 관련, 박보환 의원은 “교육당국의 안일한 정책이 비인도적인 학습환경을 조장하고 있다.”고 질타했다. 한국토지주택공사와 경기도시공사 등 동탄2신도시 사업시행자 측이 작성한 ‘학생수용계획 등 사전협의자료’에 따르면 학교별 부지배정 규모는 학생 1인당 10.3㎡로 동탄신도시(10.2㎡)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콩나물교실은 동탄2신도시에서도 재연될 우려가 높다.
김병철기자 kbchul@seoul.co.kr
2009-10-27 12:0:0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