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1일부터 롯데월드에서는 이용객이 폐휴대전화를 내면 입장료를 40% 할인해 주고 있다. 서울대공원은 10일부터 폐휴대전화를 내면 무료 입장이 가능하다. 또 12일부터 단성사에서는 평일에 한해 영화 1편을 무료 관람할 수 있고, CGV 용산·상암관에서는 매점의 세트메뉴를 2000원 할인받는다.
이와 함께 강동구 둔촌아파트와 송파구 잠실파크리오, 강남구 은마아파트 등 1만 7000여가구는 폐휴대전화를 재활용해 얻은 수익금을 인근 동북고와 잠실고, 서울장학재단 등에 기부해 저소득층 자녀 장학금으로 쓰도록 할 계획이다.
수거한 휴대전화는 부품 소재별로 정련업체와 재활용업체 등에 보낸다. 정련업체에서는 니켈과 티탄 등 금속자원을 추출한다. 휴대전화에는 고릴라의 서식지로 유명한 콩고 카후지-비에가 국립공원에 많이 매장된 ‘콜탄’이 들어 있어 폐휴대전화 재활용이 고릴라를 보호하는 효과도 있다.
시 관계자는 “지난해 6월부터 도시 광산화 사업을 추진해 폐가전 70만대와 폐휴대전화 150만대 등 220만대를 처리해 수익금 2억 2000만원을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기부했다.”면서 “올해는 폐휴대전화 4만대를 거둬들여 4000만원가량의 수익을 올릴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
2010-04-08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