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안자-담당자 질의·응 답
신정7동 주민자치센터 직원 박상숙씨는 지난 4일 구청장과의 대화에서 이렇게 제안했다. 7월15일부터 지난 1일까지 이제학 양천구청장의 이메일에 쏟아진 직원 아이디어 255건 가운데 발표자로 나선 것이다. 우선 이해를 돕기 위해 김지원 청소처리팀장이 답변하는 시간을 가졌다.
그는 “동네마다 클린봉사단이 구성돼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런데 사유지 쓰레기 청소엔 도덕 불감증 문제가 따른다.”면서 “환경미화원은 현재 본청을 합쳐 75명인데 1인당 예산이 수당만 해도 연간 1300만원이나 돼 동마다 2~3명 배치는 어렵다. 최근 강서구를 벤치마킹한 결과 음식물 수거용기 주변만을 청소하는 공공근로특별대책반을 운영하고 있었는데 일자리 창출 일환으로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이 구청장은 “공공근로 특별대책반을 운영해 수거용기 주변을 청소하는 방안을 찾아 곧바로 시행할 것”이라고 화답했다.
●구청장, 정책연결 방침
이 구청장은 또 음식물 탈취제 사용이 인체에 무해하니 설치해 달라는 요청과 수거용기 세척 횟수를 늘리는 문제도 돕겠다고 덧붙였다.
목3동 전병군씨 등 제안자들은 “청소 민원 50% 이상이 음식물 수거통과 관련된 것들”이라면서 냄새 포집기와 환경호르몬 문제가 따르는 방향제 살포기 대신 설치하면 효과가 빼어나다.”며 탈취제 확대를 건의한 터였다.
신정1동 직원 유정남씨는 “지방세 포인트 적립제도를 시행하자.”는 의견을 어렵게 내놓았다. 먼저 장수길 부구청장은 “세금감면에 관한 것이므로 법 제정 절차를 거쳐야 가능할 것으로 본다.”는 의견을 냈다. 세무1과에서도 “세법을 고려해 검토해야 할 것 같다.”고 맞장구를 쳤다.
질의응답을 경청한 이 구청장은 “인터넷 납부시 500원 포인트를 활용하시고 납기내 납부 3% 활용과 성실납부자에겐 행정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해 달라.”고 실무자에게 지시를 내렸다.
구는 구청장 이메일을 통해 수시로 들어오는 제안을 추린 뒤 이 같은 대화를 거쳐 정책으로 연결하는 방안을 꾀하기로 했다.
송한수기자 onekor@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