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라 서울형 사회적기업은 총 253곳으로 늘었다. 지금까지 발굴한 일자리는 7493개다. 시는 2012년까지 총 1000개의 서울형 사회적기업을 발굴해 일자리 2만 8000개를 창출하기로 한 바 있다. 지난 2, 4월에 이은 이번 3차 선정으로 올해 목표는 조기 달성할 수 있게 됐으며 4차 모집은 10월에 있을 예정이다.
응모한 기업은 모두 223개이며 문화교육분야 기업이 22곳으로 가장 많이 선정됐다. 이어 환경·건설·교통과 사회복지가 각각 14곳, 보건보육이 7곳 뽑혔다.
특히 노인·여성·탈북자 등 취약계층을 위한 일자리들이 눈에 띈다. 장애인을 고용해 발광다이오드(LED) 조명을 생산하는 ‘한국소아마비협회 사업단 정립전자’, 노인과 장기실직자를 채용해 지하철 스크린도어를 유지·보수하는 ‘화지에이치산업’, 취약계층 여성들이 참여해 친환경의류를 생산하는 ‘㈜오르그닷’, 새터민고용 임가공업체 ‘새마을복지연합회 사업단 행복플러스’ 등이 대표적인 곳이다.
박대우 일자리정책담당관은 “성장 가능성이 높은 기업들을 발굴해 양질의 일자리가 창출될 수 있도록 하겠다.”면서 “선정뿐 아니라 엄격한 인큐베이팅을 통해 1~2년 내 노동부 인증 사회적기업으로 자립시켜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형 사회적기업은 정부로부터 각종 지원을 받는 공익형 기업인 사회적기업의 요건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잠재력을 갖춘 곳을 말한다. 선정되면 최장 2년간 3억원까지 재정, 경영, 인력 등 다각도에서 지원받을 수 있다. 사업개발비 지원사업 공모에 뽑히면 사업개발비로 최대 2000만원을 추가로 받을 수 있다.
강동삼기자 kangtong@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