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보행자거리+공원 검토…23일 세종로 차량통제·모니터링
서울시가 국가 상징 거리인 광화문 삼거리에서 숭례문까지의 거리를 울창한 숲이 우거진 공원으로 조성, 보행자 중심 거리로 탈바꿈시키겠다는 계획을 적극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세종로·태평로 등에 나무를 심어 세계 어디에 내놓아도 손색없는 세계적 명소로 꾸민다는 계획이다.서울시 관계자는 13일 “세종로·태평로 밑에 지하철이 지나가고 있지만 나무를 심는 데 기술적으로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다.”면서 “여름철 땡볕에 나무 한 그루 없는 광화문광장은 잘못된 광장”이라고 밝혔다.
또 다른 관계자는 “자동차 중심인 서울의 패러다임을 사람 중심으로 바꿔 나갈 것”이라면서 “23일 세종로에 처음으로 보행자 전용 거리를 시범 운영한 뒤 이를 정례화하고, 장기적으로는 숭례문까지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른바 서울시의 ‘꿈의 숲’은 박원순 시장의 보행친화도시 계획에 따라 2015년 서울성곽 유네스코 등재 계획과 함께 검토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시에 따르면 서울성곽 유네스코 등재 계획과 병행해 시민들의 보행 연결성을 확보하는 내용의 ‘프로미나드(promenade) 구축 계획’을 추진한다. 프로미나드는 ‘산책로’를 뜻하는 말로, 서울 도심에 자전거와 사람만 다닐 수 있는 보행 전용 도로를 만들어 보행의 연결성을 확보한다는 것이다.
우선 광화문 삼거리에서 세종로 사거리를 거쳐, 덕수궁을 지나 숭례문까지 보행자들이 차량에 방해받지 않고 걸을 수 있도록 보행자 중심 거리를 만들고, 주변에 공원을 조성해 꿈의 숲으로 만드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럴 경우 현재 도로의 차선은 왕복 2차선 정도로 대폭 축소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오는 23일 오전 6시부터 9시까지 광화문삼거리~세종로 사거리 간 양방향 도로의 차량통행이 전면 통제된다. 오전 9시에서 오후 7시까지는 광화문 삼거리에서 세종로 사거리 방향 도로만 통제되고, 세종로 사거리에서 광화문 삼거리 방향 도로는 차량 통행이 가능하다.
시는 보행자 전용 거리 시범 운영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상인과 주민들의 의견을 듣고 이를 정례화할 방침이다. 시는 보행친화도시 추진 계획을 통해 자전거의 교통분담률을 현재 2.58%에서 2014년까지 5%로 높이고, 승용차의 교통분담률을 1% 이상 낮출 계획이다.
조현석기자 hyun68@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