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마 농부들 수확하며 ‘까르르’ 탈곡하며 ‘우당탕’… 생태놀이터
24일 서울 송파구 방이동 생태경관보전지역(방이습지)에 조성된 논에 ‘꼬마 농부’들이 떴다. 알곡을 품은 노란 벼가 신기한 아이들은 숲해설가의 도움을 받아 직접 벼를 베고 조상들이 하던 방식으로 재래식 기계를 돌려 낟알을 떨어냈다.꼬마 농부들이 놀이터처럼 뛰어다니는 방이동 논 습지는 지난해 5월 823㎡ 규모로 처음 조성됐다. 농경지였던 방이동의 옛 모습을 복원하고 논에서 자라는 동식물을 아이들이 관찰할 수 있게 하자는 생각에서였다.
이곳은 도심 일대에서 보기 힘든 잘 보전된 생태 환경을 접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한 해 4000명가량이 찾는 유명 학습장이 됐다. 농사일이 없는 겨울철에도 짚풀공예교실이나 얼음썰매장 프로그램 등을 운영해 아이들에게 인기를 얻고 있다.
박춘희 구청장은 “방이습지는 이 일대의 생물 다양성을 보전하는 도심 속 허파 같은 공간”이라며 “교육 목적으로 적극 활용하고 있으며 아이들에게도 인기가 많다.”고 설명했다.
이날 벼 베기에 나선 꼬마 농부들은 삼전동 디딤돌교육센터 소속 어린이 30여명이다. 이들은 푸른도시과 직원들의 도움을 받아 벼 베기와 탈곡, 키질, 지게 지기, 떡메 치기 등을 체험하고 직접 만든 떡도 맛봤다. 또 논 습지 바로 옆에 위치한 생태학습장에서 습지의 역할, 방이습지에 사는 생물 등에 대해 공부했다. 벼 베기를 처음 체험해 봤다는 노윤서(6·잠실6동) 어린이는 “벼가 쌀이 되는 걸 배우긴 했는데 실제로 본 건 처음”이라면서 “신기하다. 내년에도 또 오고 싶다.”고 소감을 전했다.
박 구청장도 벼 베기에 참가해 낫질과 탈곡 실력을 자랑했다.
경남 산청 출신으로 부산에 유학 가기 전 부모님을 도와 농사일을 했다는 박 구청장은 “어릴 적에 이웃 논에서 일을 돕고 이삭을 주웠던 기억이 있다.”며 “그 시절 사용했던 농기구를 그대로 써 보니 감회가 새롭다.”고 전했다. 한편 방이습지에서는 올해 쌀 400㎏을 수확했다. 구는 이를 탈곡, 도정한 뒤 푸드마켓이나 지역 내 사회복지시설 등에 기증할 방침이다.
강병철기자 bckang@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