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2016년까지 도심 5개 선도시장 특화 육성
버스나 지하철을 탈 때 쓰는 T머니카드처럼 서울시내 전통시장 어디서나 손쉽게 쓸 수 있는 전용카드가 발급된다.
|
19일 서울 중구 태평로 서울광장에서 열린 서울형 신시장 모델 선도시장 협약식이 끝난 뒤 박원순(왼쪽에서 일곱 번째) 시장이 성북 김영배(첫 번째), 서대문 문석진(세 번째), 도봉 이동진(다섯 번째), 관악 유종필(오른쪽에서 세 번째), 강동 이해식(맨 오른쪽) 구청장 등과 협약서를 들고 협력을 다짐하고 있다.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전통시장 전용카드. 고형철 서울시 시장지원팀장은 “현장 조사를 해보니 신용카드 단말기 보급률은 그나마 48%대에 이르긴 했지만 상인들이 연로한 데다 채소, 어물 같은 것을 직접 손으로 만진 뒤 결제하려다 보니 스스로나 손님들 모두 굉장히 불편해한다는 점을 알게 됐다”면서 “T머니처럼 접촉만 하면 바로 손쉽게 결제되고 수수료 부담이 거의 없는 데다 손님들은 마일리지까지 적립할 수 있는 선·후불카드를 도입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현재 은행권과 구체적 도입 방법 등을 논의하고 있다. 도입되면 일단 5개 거점시장에서 먼저 쓰도록 하고 부작용 등을 점검한 뒤 2015년부터 다른 재래시장으로 확대한다. 이는 LG유플러스의 스마트 모바일 결제 서비스인 ‘페이나우’(Paynow) 등 첨단 결제 시스템이 등장했기 때문이다. 페이나우는 스마트폰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초소형 카드리더기만 부착하면 언제 어디서나 카드 결제가 가능한 서비스다.
올해 말까지 시장상인회·해당 자치구·서울시가 구체적 발전 방향을 정하기 위한 사업단을 구성한 뒤 전문가 컨설팅을 거쳐 내년 봄 개선사업을 본격화한다. 2015년까지는 시설 개선 등 모든 사업을 완료한다. 이 과정에서 협동조합·마을기업의 청년 상인을 시장 안으로 끌어들이고, 경영은 물론 마케팅과 기획을 담당한 전통시장 매니저를 64명까지 늘리는 등 ‘작지만 시장을 살리는 10가지 변화’를 집중 추진한다. 장기적으로는 서울전통시장진흥센터, 서울전통시장상인회관도 만들어 이런 노력들이 2016년 이후 다른 전통시장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조태성 기자 cho1904@seoul.co.kr
2013-11-20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