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립 52년만에 대전서 첫 모임
우리나라 어촌계장이 처음으로 한자리에 모이는 전국대회가 대전에서 열렸다.대회에는 전국 1992개 어촌계의 장과 이주영 해양수산부 장관, 수협 관계자 등 모두 2000여명이 참석했다. 시·도별로 어촌계장협의회가 구성돼 있으나 전체 어촌계장이 집결하는 것은 처음이다. 대회는 교류가 별로 없던 어촌계와 협력 관계를 다지고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등 수산업의 위기를 알리기 위해 수협중앙회가 마련했다. 대회 주제도 ‘하나된 우리, 힘찬 미래로’이다. 이종구 중앙회장은 “어촌계는 수협의 기초조직으로서 최일선에서 수산업 발전을 진두지휘하고 있다”면서 “어촌계가 튼튼해야 수산업이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전국 어촌계장들은 이날 ‘어촌계 헌장’을 발표했다. 이들은 헌장에서 “어촌계원 간 협동을 통해 어업생산성 향상에 힘쓰겠다”며 ▲지속 가능한 어업생산기반 구축을 위해 수산자원을 조성하고 보호한다 ▲어촌을 후대에 물려주기 위해 깨끗한 어촌만들기에 동참한다 등 5개 항의 실천사항을 다짐했다. 이어 포상 등 행사가 이어졌다. 어촌계는 1962년 수산업협동조합법에 따라 설립된 소규모 협동조합으로 수협의 하위조직이다. 전남 837개, 경남 453개, 경북 152개, 충청 160개, 경인 108개, 제주 100개, 강원 77개, 전북 64개, 부산 41개 등 전국에 1992개의 어촌계가 있고 13만 9471명의 계원을 두고 있다. 수협 조합장과 중앙회 회장은 어촌계장과 계원 중에서 선출한다.
하지만 연안 어장을 중심으로 관리하는 어촌계는 자원고갈, 불법조업에 계원의 고령화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양진목(60) 충남 태안군 안면도 라향어촌계장은 “진작 했어야 할 행사”라며 “마을 이장보다 일이 더 많은 어촌계장에 대한 정부나 자치단체의 지원, 어촌 투자 등 현안을 논의하지 않은 점은 아쉽다”고 지적했다.
대전 이천열 기자 sky@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