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융 中 베이징대 국제정치경제연구센터 주임
왕융(王勇) 중국 베이징대 국제정치경제연구센터 주임은 10일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체결로 중국 시장 내 한국 기업들의 지위가 높아지고 양국 간 정치·외교 관계가 강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한 중국의 노동력 원가가 한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기에 중국 상품의 한국 시장 점유율이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음은 일문일답.-경제 관계가 한층 돈독해짐에 따라 두 나라의 정치·외교 관계도 강화된다. 중국 시장 내 한국 기업의 지위가 높아지고, 중국 제품의 한국 수출이 늘어난다. 상호 투자 개방으로 양국 간 경제 교류 수준도 깊어진다.
→한·중 FTA 협상 체결로 인한 양국의 최대 수혜 분야는.
-중국은 제조 분야에서 노동력 원가가 상대적으로 낮아 경쟁력이 있다. 한국에 대한 전반적인 수출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제조업뿐 아니라 금융업, 통신도 수혜 분야다. 한국 입장에서도 제조업과 서비스업, 전자, 석유화학, 물류, 금융, 통신 등에서 수혜가 예상된다.
→한·중 FTA 협상 체결로 한국 측이 피해를 볼 가능성은.
-한국 기업이 생산시설을 중국으로 이전해 만든 제품을 한국으로 들여와 판매할 경우 고용 등의 분야에서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중국산 농산물이 한국에 더 많이 들어올 것에 대한 우려가 많은데.
-양국은 자국 내 정치적 어려움을 피하기 위해 민감한 품목은 보호하는 선에서 협상을 타결했다.
→한국 기업들은 중국의 서비스 시장 개방에 관심이 많다.
-은행, 보험, 증권, 물류, 전자상거래 등 모든 분야에서 한국 기업들이 발전 기회를 모색할 수 있다. 그러나 중국 내 경쟁이 이미 치열하다는 점에서 참여를 원한다면 충분한 시장 조사와 준비가 필요하다. 시장이 열렸다고 해서 무턱대고 중국 서비스업에 진출한다면 중국 현지 업체들과의 경쟁에서 이기기가 쉽지 않다.
→한·미가 FTA를 맺고 있는 만큼 한·중 FTA 체결 이후 중국 기업이 한국에서 제품을 생산해 미국으로 수출하는 것도 가능해지는데.
-미국으로 수출하는 상품 대부분이 노동력 원가가 저렴한 중국에서 만들어지고 있어 그럴 가능성은 높지 않다. 다만 고도의 기술이 요구되는 하이테크 제품의 경우 한국에 생산기지를 마련한 뒤 미국으로 수출하는 전략을 취할 가능성도 충분히 있다.
글 사진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2014-11-11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