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문화 시설 50% 등 활용 떨어져
서울 강남에 마지막 남은 대형 시유지인 옛 서울의료원 강남분원 부지의 공개 매각이 유찰됐다. 서울시는 25일 “단독 입찰자가 입찰보증금을 내지 않아 무효 처리됐다”고 밝혔다.
|
입찰 결과 발표 전에 현대차그룹과 삼성그룹 두 대기업이 불참할 것으로 알려져 일찌감치 유찰 가능성이 점쳐지기도 했다. 현대차그룹은 서울의료원과 100m 남짓 떨어진 옛 한국전력 부지 8만㎡을 지난해 10조 5500억원에 사들였다. 삼성그룹은 서울의료원과 붙어 있는 옛 한국감정원 부지를 2011년 인수했다. 삼성은 현재 강남경찰서가 사용 중인 한국감정원 부지와 서울의료원 부지를 연계해서 개발할 가능성이 예상됐으나 활용도가 떨어진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이 땅은 준주거지역으로 최대 용적률이 400%라 건물을 더 높이 지으려면 별도의 기부채납을 해야 한다. 또 전체 공간의 50% 이상을 업무·관광·문화·집회시설로 사용해야 한다는 제한도 대기업이 참여를 꺼린 이유로 분석된다.
이번 공개매각 유찰을 시민단체는 환영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서울시는 서울의료원의 재벌매각을 중단하고, 공공의 이익을 위해 사용할 방안을 시민과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3조원 가치의 알짜배기 땅을 헐값에 민간에 넘기는 이유가 박원순 시장이 부채 감축이란 공적을 쌓기 위한 것은 아닌지 의심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윤창수 기자 ge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