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윤희 서울시의원이 지난 2일 제263회 임시회 시정질문에서 유통기한이 지난 폐의약품이 회수가 제대로 안되고 하천 등에 버려져 대책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사진 서울시의회 제공 |
특히 최근 전국 21개 하천수 조사 결과 일부 하천수에서 항생제 다제내성균(일명 슈퍼 박테리아)이 검출된 것으로 나타나 폐의약품 처리와 관리에 철저를 기해야 함을 강조했다.
이윤희 서울시의원에 따르면 가정의 폐의약품들은 쓰레기 종량제봉투에 버려지는 것이54.8%, 약국 등에 15.5%, 가정에서 장기보관이 8.4% 정도가 되고 있어 제대로 수거되고 있지 않음을 지적했다.
또한 25개 자치구에 대한 조사 결과 자치구 별 수거함 비치장소, 운반 및 보관 장소, 소각장 운반주체, 소각처리 예산부서 등이 상이하여 일관성이 없으며, 특히 2014년 자치구별 가정 내 폐의약품 회수량을 보면 자치구간 편차가 매우 크게 나타나는 것을 볼 때(도봉구 200kg, 동작구 7,810kg) 일부 자치구의 폐의약품 회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이 의원은 “시민들의 건강과 환경 보호를 위해 항생제 등 폐의약품이 그대로 버려져 하천이나 토양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서울시 차원의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관리 대책이 필요하다”며 “시민들이 가정에서 약국까지 가져오게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데 시민들의 자발적인 동참을 유도하기 위한 홍보를 강화하고, 주택 또는 아파트 내에 폐의약품 수거함을 비치하여 접근성을 높이는 것도 참여율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일 것”이라고 밝혔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