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특색 살린 차세대 핵심 산업
가지산과 해발 1000m가 넘는 높은 산에 싸여 곳곳이 관광명소다. 3대 누각의 하나인 영남루와 여름에 얼음이 언다는 얼음골, 천년고찰 표충사, 나라에 중요 사건이 있을 때 비석에 땀방울이 맺히는 표충비각, 사명대사 생가터와 유적지 등이 있다. 밀양 아리랑 등 아리랑은 2012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됐다.
박일호 밀양시장은 “지역 특색을 최대한 활용해 농·공업과 관광 산업을 밀양 부흥·발전을 선도하는 3대 핵심사업으로 집중 육성하겠다”고 강조했다.
공업분야 핵심은 미래 신성장 동력산업으로 꼽히는 나노융합산업 국가산업단지 조성이다. 경남도와 밀양시의 끈질긴 노력 끝에 정부는 지난해 12월 부북면 165만㎡를 나노융합 산단으로 지정했다. 2020년까지 3350억원을 들여 조성된다. 또 정부는 국비 1362억 3000만원 등 모두 2294억 4000만원을 들여 2022년까지 나노융합 연구센터를 만든다. 밀양은 대한민국 최고 나노산업도시로 발전할 것으로 기대한다.
밀양에 관광숙박단지가 없어 관광객들이 쉬면서 즐기는 힐링·휴양 관광지로 만들기 위해 시는 단장면 미촌리 94만㎡에 대규모 복합테마 관광단지를 조성한다. 박 시장이 의욕을 가진 사업이다. 2020년까지 3872억원을 들여 특급호텔과 콘도, 대중골프장, 스포츠파크, 김치랜드 등 다양한 휴양관광시설을 조성한다.
박 시장은 “나노융합 산단과 미촌리 관광단지가 조성되면 젊은 사람이 늘어나고 사시사철 관광객이 북적이는 역동적인 도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밀양 강원식 기자 kw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