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감관저 터는 1910년 이완용과 조선 통감 데라우치가 한일강제합병 조약을 비밀 스럽게 체결했던 장소로 일제 식민 역사가 시작되는 공간이다.
이곳에 조성될 ‘기억의 터’는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명예를 회복하고 영원히 기 억하자는 취지로 현세대뿐만 아니라 미래 세대들에게도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진 실을 알릴 수 있는 교육의 장이 될 예정이다.
‘기억의 터’는 지난 6월 21일 서울시 도시공원심의위원회에서 조성계획이 통과됨에 따라 2016년 8월 15일 완공 예정이며, 위안부 피해자인 故 김순덕 할머니가 남긴 그림이 벽화로 만들어지고 ‘세상의 배꼽’이라는 평화의 의미를 담은 조형물도 세워질 예정이다.
우 의원은 기억의 터 조성 추진 위원회에서 추진 위원을 맡아 활동해왔으며 이날 인터뷰를 통해 “이러한 역사적인 순간에 참여할 수 있어 영광이며 서울시 의원으로서, 같은 여성으로서 깊은 슬픔과 책임을 느낀다.“라고 밝혔다. 또한 ”일제 치하에서 인권을 유린당한 할머니들의 뼈아픈 아픔을 우리 모두가 보듬어야 한다.“라고 말했다.
우 의원은 “‘기억의 터’는 경술국치의 현장인 통감관저 터에 세워질 것이기에 더욱 의미가 있고, 이제 마흔한 분밖에 남지 않은 피해자 할머니들의 한을 위로해드릴 수 있는 공간이다.“라고 말했다. 끝으로 “다시는 이러한 역사의 비극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우리 모두가 노력해야 한다.”라고 밝혔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