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중화 의원에 따르면 “현재 서울시가 진행하는 사업들은 창업카페, 청년창업꿈터, 청년창업센터, 전통시장 청년상인 창업지원 등 다양한 사업과 예산이 들어가고 있다” 라며 “하지만 현재 사업들의 대부분은 1년 지원의 한계와 기존시장과의 사업동일성, 지원이후의 경영난 등의 문제점이 많은 실정이다”라며 개선을 강조했다.
이어 박 의원은 “실질적인 제도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며 또한 선정과 지원에 대한 과정을 투명성이 필요하며 서울시가 적극적인 홍보와 적극적인 지원이 많은 변화를 가져 올 것이다” 라고 언급하고 이어 “지금도 전국의 많은 청년들이 부푼 꿈과 희망을 가지고 서울로 오는 현실에서 지금의 정책보다 더 실질적, 현실적인 정책의 개발이 필요하다”며 서울시의 관심을 촉구했다.
박 의원은 또한 “서울시의 막대한 예산 중 실질적으로 청년들을 위해 적정하게 사용해야 될 것” 이라고 다시 한번 강조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