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발전 5개 분과별 원탁 토론회
“지속가능한 발전, 당장의 이익보다 미래를 보는 시작입니다.”지난 20일 서울 도봉구 평생학습관 대강의실에서 열린 ‘어서 와, 지속가능발전은 처음이지?’ 토론회에 참석한 이동진(가운데) 도봉구청장과 이영숙(오른쪽) 도봉구의회 의원이 발표자의 질문에 손가락 개수로 대답하고 있다. 최해국 선임기자 seaworld@seoul.co.kr |
이 자리에 참석한 이동진 도봉구청장은 “선출직 단체장이나 정치인의 경우 눈앞에 보이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데, 그것만 좇다 보면 정말로 우리가 지켜야 할 가치를 잃어버릴 수 있다”며 “지속가능한 발전은 당장은 눈에 보이지 않지만, 현재뿐 아니라 미래를 위해서 지키고 견지해야 할 가치”라고 했다. 지속가능한 발전이란 미래 세대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능력을 해치지 않으면서 현재 세대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발전을 의미한다.
‘어서 와, 지속가능발전은 처음이지?’라는 제목의 토론회에서는 그동안 지속가능발전위원회를 주축으로 구성한 기본계획을 공유하고 분과별로 어떻게 이행과제, 단위과제를 이행할지 구체화했다.
앞서 도봉구는 2015년 11월 기초자치단체 단위로는 최초로 지속가능발전 조례를 만든 바 있다. 지속가능발전 용어를 정의하고 위원회 구성·운영 등에 대한 내용을 담았다. 지난해 4월에는 도봉구의 지속가능발전을 실행해 나가는 거버넌스 기구로 지속가능발전위원회를 구성해 운영하고 있다.
김연순 도봉구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위원장은 “보통 기본계획의 경우 엄청난 예산을 들여 다른 곳에 용역을 주는 경우가 많은데 도봉구의 경우 주민과 구가 함께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을 직접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기후환경 분과에서는 미래세대와의 공존을 위한 온실가스 감축 노력, 자원 재활용 극대화로 폐기물 매립 제로화 추진 등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 논의됐다. 교육문화 분과에서는 주민 주도 문화예술활동 활성화, 지역사회 평생학습 지원체계 구축 등이 단위과제로 이야기됐다. 경제산업 분야에서는 창동 신경제중심지 조성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등을 어떻게 구체화할 것인지를 두고 토론을 벌였다.
이 구청장은 “토론회에서 나온 내용이 도봉구 이외의 다른 지역에까지 영향을 끼치고 우리가 논의한 내용 이외의 다른 영역에까지 퍼져나갈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윤수경 기자 yoo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