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성수 구청장 ‘상징 공간’ 개장
890년 된 ‘천년향’에 접근로 신설바닥엔 법률 명언… 법과 정의 체감
서민 일상 속 사법 접근성 향상 상징
대법원에 후계목 심어 의미 더해
전성수(맨 오른쪽) 서울 서초구청장과 천대엽(오른쪽 두 번째) 법원행정처장이 지난 2일 대법원에서 서초역 사거리 보호수 향나무인 ‘천년향’의 뒤를 이을 후계목 식수 행사에 참석한 모습. 서초구 제공 |
“이 같은 공간을 만든 것은 우리 법치주의와 서민의 사법 접근성 향상이라는 큰 염원을 실현하기 위한 큰 발걸음이라고 생각합니다.”(천대엽 법원행정처장)
“법이라는 게 우리 국민의 일상에서 멀리 있는 게 아니라 바로 가까이에 있음을 실감하고 공감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전성수 서울 서초구청장)
지난 2일 ‘서초역 향나무 공간 조성’ 개장식에 참석한 전 구청장과 천 처장은 사법정의를 상징하는 공간을 만든 의미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서초구는 서초역 사거리에 약 890년이 된 보호수 향나무인 ‘천년향’을 중심으로 ‘아시아·태평양 사법정의 허브’의 상징 공간을 조성하고 이날 개장식을 열었다. 아·태 사법정의 허브는 대법원, 대검찰청, 대한변호사협회 등 전국 최대 법조단지가 있는 서초역 일대 약 53만 6000㎡ 지역에 조성된다.
이날 두 기관은 대법원에서 천년향의 뒤를 이을 후계목 식수 행사를 가진 뒤 서초역 사거리의 향나무 상징공간으로 이동해 개장식을 가졌다. 개장식에는 지역주민과 법무부, 대검찰청, 대한변호사협회 관계자들도 함께했다.
서초구는 아·태 사법정의 허브와 관련, 지난해 3월 지정·고시를 하고 같은해 7월에 선포식을 개최하는 등 조성에 속도를 내고 있다. 법조 관련 기관이 밀집한 이 지역을 네덜란드 헤이그와 같은 세계적인 사법 정의의 메카로 조성한다는 계획의 하나이다.
이 같은 구상은 전 구청장의 은사인 송상현 서울대 명예교수의 제안에서부터 시작했다.
이날 개장식에 참석한 송 명예교수는 국제형사재판소장 시절 헤이그에서의 일화를 소개하며 “상징공간과 같은 물리적 시설을 설치하는 것으로 끝나지 않고 시민 교육 등으로 확산하기를 바란다”고 주문했다.
안석 기자
2025-10-13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