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토론회는 지난해 경기도에서 전국 최초로 비유전자변형식품(GMO) 인증 도입에 이어, 이달부터 친환경 학교급식용 가공식품에 대해서도 비유전자변형식품 인증 표시를 의무화하도록 함에 따라 경기도 GMO급식의 바람직한 방향과 구체적인 대안들을 모색해 정책에 반영하기 위한 소통의 장으로 마련한 것이다.
토론회는 좌장인 황진희 도의원의 사회로 진행됐으며 김명원 위원장(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의 주제발표와 김형원 위원장(강원도의회 경제건설위원회), 이재욱 이사장(경기도농수산진흥원), 임채완 이사장(동북아평화연대), 이은수 사무국장(해외농업자원개발협회), 김현동 대표(동북아식품협동조합), 이연숙 사무관(경기도교육청 학교급식협력과)이 참석해 활발한 토론을 벌였다.
황 도의원은 “지난해 도교육청 차원의 안심급식위원회 심의 사항의 실효성을 확보하고, 각 학교에 사용기준 안내 사항 등을 명확히 하고자 ‘경기도교육청 학교급식 유전자변형식품(GMO) 사용 제한에 관한 조례’를 개정했으나 법적근거 미비, 현실적으로 압도적인 수입 GMO로 인해 구체적 대안이 마련돼 있지 않아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해 대안을 찾고자 토론회를 개최하게 됐다”고 밝혔다.
주제발표에 나선 김명원 위원장은 ‘경기도 비GMO 급식과 연해주 비GMO 해외농업’을 주제로 연해주 Non-GMO 해외농업의 성과를 대한민국의 Non-GMO 급식의 대안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