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 도의원은 최근 2년 간 작은 도서관 305곳이 폐관했고 주요 폐관 사유는 이용감소와 운영문제 등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며 폐관 이후 시설회수 문제 등을 질의했다.
박승삼 평생교육국장은 “작은 도서관 활성화를 위해 각 시군에서 자체 등록기준을 가지고 진입장벽을 낮추어 두었는데 그 때문에 오히려 폐관도 자유로운 측면이 있다”며 폐관을 한 경우 활용이 가능한 서가 도서나 시설 등은 시군에서 회수하고 있다고 답했다.
장 도의원은 “작은 도서관 폐관 이후의 처리 절차 등에 대해서도 운영 세칙을 마련하여 명확히 안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안하면서 작은도서관을 활성화하기 위한 연구과제를 설정하고 추진해 달라고 요청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