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정협의, 현행 거리두기 유지 공감
업종별 특성에 따라 세부 조정할 듯
오미크론 발생 이후 신규 확진 최다
감염경로 모르는 ‘n차 감염’ 본격화
“의료체계 재편·재택치료 개선해야”
|
|
| ‘3~4시간 내 판독’ 오미크론 진단시약…4인 모임 제한은 연장 가닥 29일 대전 유성구 대전시보건환경연구원에서 연구진이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를 신속히 판별할 수 있는 유전자증폭(PCR) 시약을 보여 주고 있다. 국내에서 개발한 이 시약은 30일부터 현장에서 사용된다. 코로나19 변이 판정에 필요한 시간을 기존 3∼5일에서 3∼4시간으로 단축할 수 있다. 정부와 여당은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를 적어도 다음달 16일까진 연장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대전 연합뉴스 |
이날 0시 기준 오미크론 변이 감염자는 109명으로, 지난 1일 국내에서 첫 오미크론 감염자가 나온 이후 최대치다. 이 가운데 69명이 해외 유입, 40명이 국내 감염(지역 감염)이다. 69명 중 46명은 미국발(發) 입국자로 확인됐다. 미국과 영국, 프랑스 등 유럽 지역에 오미크론이 급속히 확산해 해외 유입 통제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국내에서는 해외 입국자발 전파 외에도 감염경로를 알 수 없는 ‘n차 전파’가 본격화되고 있다. 전북 익산시에서 식품제조업 관련 집단감염이 발생하면서 집단 관련 사례가 15건으로 늘었고, 감염경로를 알 수 없는 오미크론 감염자도 광주와 익산시에서 각각 9명과 2명이 나왔다. 현재 오미크론 누적 확진자는 558명이다.
박영준 중앙방역대책본부 역학조사팀장은 브리핑에서 “감염경로 불명 사례는 더 증가할 것”이라며 “오미크론은 델타, 알파 변이처럼 무증상기에도 전파가 가능하고 확진자와 같은 공간에 장시간 체류하면 전파될 수 있는데 노출된 사람을 전부 확인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설명했다.
| 자영업자 고통 언제 끝날까 29일 서울 도심 한 식당이 손님 없이 텅 비어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소상공인 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코로나19 이후 소상공인 영업이익이 1년 새 반토막 수준으로 쪼그라들었고 종사자 역시 전년 대비 87만명 넘게 줄었다. 뉴스1 |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이민영 기자 min@seoul.co.kr
2021-12-30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