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공원 해제로 사업 본궤도, 2026년 개항 목표로 1833억 투입
흑산공항 예정 부지의 국립공원 해제를 위한 ‘다도해 해상국립공원계획 변경’ 안이 31일 환경부 국립공원위원회 심의를 통과해 흑산공항 사업이 본궤도에 올랐다.흑산공항은 2026년까지 1천833억 원을 들여 68만 3천㎡ 부지에 길이 1천200m 폭 30m의 활주로와 계류장, 터미널 등의 부대시설을 갖추고 50인승 항공기가 이착륙하게 된다.
당초 흑산공항은 2020년 개항 예정이었으나, 2011년 ‘제4차 공항개발 중장기 종합계획’ 발표 이후 환경단체의 철새 서식지 보호와 환경 훼손 등의 반대에 부딪쳐 ‘다도해 해상 국립공원 변경 계획’이 국립공원위원회 심의에서 번번이 보류되는 등 지난 13년째 난항이 지속되기도 했다.
전라남도와 신안군은 그동안 국립공원면적 총량제 제도를 활용, 흑산도를 국립공원에서 제외하고 보존 가치가 높은 갯벌지역을 국립공원에 편입시키는 ‘국립공원 대체 편입지역 변경안’을 환경부에 건의하고 지역사회도 흑산공항 건립 여론조사를 실시해 청와대 등 12개 기관에 청원서를 제출하는 등 총력을 기울였다.
전남도는 공항 부지가 국립공원에서 해제됨에 따라 2017년부터 중지됐던 환경영향평가 및 실시설계 등 후속 행정절차를 신속하게 진행, 연내에 착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지역 관광 등 산업 활성화로 연간 1535억여 원의 생산유발효과와 645억 원의 부가가치는 물론 1189명의 고용 창출 등의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흑산공항이 건설되면 도서 지역 주민과 관광객의 이동권이 향상돼 지역경제가 발전하고 응급의료서비스도 개선될 것”이라며 “2026년 흑산공항이 차질없이 개항되도록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류지홍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