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관리제 단계별 추진
361개 노선 2991대 1단계로 시행준공영제 업체로 기사 이탈 우려
마을버스 “월급 올릴 여력 안 돼”
고양시 “요금인상 적극 검토할 것”경기도가 9월부터 ‘시내버스 공공관리제’(준공영제)를 단계별로 추진할 것으로 알려지자 운전기사 구인난을 겪는 마을버스 업계가 울상이다.
경기도는 광역버스에 시행 중인 준공영제를 단계별로 시내버스까지 확대한다고 22일 밝혔다.
우선 1단계 대상은 361개 노선 2991대에 이른다. 이에 도내 마을버스는 물론 시내버스 업계까지 들썩이고 있다. 국내 최대 마을버스업체인 고양 대덕운수 관계자는 “운전기사가 없어 절반이 운행을 못 하고 있다”면서 “기사들이 월급을 더 주는 준공영제 업체나 시내버스로 이탈하지 않도록 월급을 더 준다든지 수당을 더 준다든지 해야 하는데 재정 여건상 불가능하다”고 했다. 마을버스운송조합 정병철 고양시지부장도 “고양시는 마을버스 환승률이 높아 요금 인상이 필수”라고 강조했다.
준공영제 대상이 아닌 시내버스업체들도 구인난을 우려한다. 시내버스 업계는 “가뜩이나 운전기사 구인난으로 어려움을 겪는데 일부 노선에서만 준공영제를 시행할 경우 구인난이 더 심각해져 운행률 감소로 이어질 것”이라며 “운수종사자 임금보전 및 처우개선 등의 대책이 급하다”고 지적했다. 명성운수 관계자는 “도가 일부 시내버스만을 대상으로 준공영제를 시행할 경우 임금을 더 주는 준공영제 업체로 운수종사자들의 이탈이 가속화될 것”이라며 준공영제 전면시행을 요청했다.
시내버스 업계까지 운전기사 구인난을 겪는 파주시도 운전자들의 추가 이탈을 막기 위해 다음달부터 자체적으로 마을버스 준공영제를 전면 추진할 예정이다.
경기도 관계자는 “현재 31개 시군 중 23개 시군에서 마을버스가 운행 중”이라며 “운전기사 구인난 해소를 위해 운전자 양성사업을 확대하는 등 다각적인 대책을 세우겠다”고 말했다.
한상봉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