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 배달의 명수 가맹점 유치 집중
울산, 지역화폐·배달앱 통합 운영
광주 “추경 통해 예산 50% 지원을”
전북 군산시는 공공배달앱 대표 격인 ‘배달의 명수’ 활성화를 위해 이달을 가맹점 확보를 위한 집중 유치 기간으로 설정했다고 15일 밝혔다. 지난 2020년 전국 처음으로 출시된 공공배달앱인 ‘배달의 명수’는 현재 누적 매출이 344억원에 달한다. 그러나 민간 배달 플랫폼의 독점에 코로나19 특수마저 끝나면서 점차 이용객이 줄었다. 이런 가운데 시는 신규 가맹점 확대를 통한 플랫폼 경쟁력 강화와 서비스 활성화 찾기에 돌입했다. 시는 지난 10일부터 시행된 농림축산식품부의 ‘공공 배달앱 활성화 소비쿠폰사업’에 발맞춰 소상공인연합회와 공무원, 상권활성화재단, 운영사와 함께 상점을 찾아다니며 홍보에 열을 올리고 있다.
울산시는 지난달부터 서로 다른 업체가 관리하던 울산페이(지역화폐)와 울산페달(공공배달앱)을 통합했다. 울산페달에서 울산페이를 사용하면 기존 7%에 5%를 더해 최대 이용금액의 12%를 돌려받도록 혜택도 늘렸다. 울산페달은 2021년 첫해 많은 관심을 받으며 주문 건수가 6만 6473건을 기록했지만, 2022년 5만 3220건, 2023년 3만 533건, 지난해 1만 8684건으로 줄곧 감소했다. 시는 낮은 인지도와 가맹점 확장 문제, 소비자 혜택 부족 등이 문제라고 보고 2억원을 홍보비로 투입하기로 했다.
광주시는 공공배달앱 활성화를 위한 정부 지원을 요구하고 있다. 시는 지난해부터 공공 배달앱 활성화를 위한 캠페인을 전개, ‘위메프오’와 ‘땡겨요’ 등을 통해 1만 5800여개 가맹점을 확보했다. 그 결과 지난달까지 누적 주문 198만건, 매출 488억원을 기록했다. 시 관계자는 “거대 배달앱의 횡포로부터 소상공인을 지키는 1차 방어선인 공공배달앱을 지원하는 일은 지자체의 힘만으로는 부족하다”며 “추경을 통해 공공 배달앱 운영 예산의 50% 이상을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주 설정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