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2026년 건설형 임대주택 100% 미리내집 전환 추진
“청년·고령자·저소득층 위한 임대수요 외면될 수 있어”
서울시의회 박석 의원(국민의힘, 도봉3)은 지난 2일 주택실 업무보고에서 서울시가 신혼부부용 ‘미리내집’ 공급 확대에만 치중하면서 다른 주거약자를 위한 임대주택 정책이 후퇴할 수 있다고 강한 우려를 표했다.
박 의원은 서울시가 기존 임대주택 계획물량과 민간매각 예정부지까지 ‘미리내집’으로 전환하는 것은 ‘정책의 균형을 잃은 무리한 계획’이라고 지적했다.
박 의원에 따르면 서울시는 ‘미리내집 공급 운영계획 변경방침’을 통해 건설형 임대주택 공급 물량 중 미리내집 비율을 기존 50%에서 2026년 100%, 2027년 이후 70%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에 박 의원은 “신혼부부만을 위한 주택 공급에 집중하는 동안, 주거 안정이 시급한 청년, 고령자, 저소득층의 임대주택 수요에 대한 보완책이 무엇이냐”라고 질의했다.
또한 박 의원은 재개발·모아타운 구역 내 기존 매입임대주택(2,691호)을 현금청산 대신 조합원 자격으로 분양받아 ‘미리내집’으로 전환하는 계획에도 의문을 제기했다.
아울러 구룡마을, 서초 염곡동의 민간매각 예정 부지를 미리내집 건립 부지로 전환하는 계획에 대해서도 재정적 위험성을 지적했다.
박 의원은 “당초 매각수익으로 잡혀있던 부지를 임대주택으로 전환하면 SH공사의 부채비율 상승은 불 보듯 뻔하다”면서“이는 저소득층을 위한 영구임대주택 건설 등 SH공사가 추진해야 할 주거복지 사업의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끝으로 박 의원은 다른 임대주택 유형은 줄이고 미리내집 유형만 늘리게 된 정책적 근거 제시를 요청하며 “속도전이 아닌, 모든 시민을 아우르는 세심한 주거 정책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