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희궁지 역사문화공원, 즉흥적인 계획으로 추진 안 돼”
서울시의회 도시계획균형위원회 임종국 의원(민주당, 종로2)은 지난 4일 도시공간본부 소관 행정사무감사에서 “경희궁지 일대 역사문화공원 조성은 웅장한 발표에 반해 즉흥적인 계획으로 실현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지적했다.
서울시는 지난해 7월 보도자료를 통해, 경희궁지와 국립기상박물관, 서울시민대학 및 차고지, 서울시교육청, 돈의문박물관마을 등 주변 4곳의 공공부지 약 13만 6000㎡ 일대를 서울광장 10배 규모의 역사문화공원으로 조성한다고 밝혔다.
1988년 경희궁지 내 건립을 어렵게 승인받아 2002년 개관한 서울역사박물관의 이전도 검토하고 장기적으로는 4대문 중 유일하게 미복원된 돈의문 복원도 추진한다고 덧붙였다.
2024년 6월 오세훈 시장이 결재한 사업계획인 ‘경희궁지 일대 종합 공간구상 실행계획’에 의하면, 이 사업은 2023년 7월 시장보고에서 검토 필요성이 제기되어 2023년 9월부터 두달간 용역(사업비 5027만원)을 추진했다.
그 후 2023년 11월 용역결과를 보고받은 오 시장이 서울역사박물관 이전부지를 찾고 교육청 부지는 재산교환방안을 적극 검토하라고 지시했고, 이틀 후 서울시는 교육청과 재산교환방안 협의를 시작했다.
그러나 도시공간본부에서 행정사무감사자료로 제출한 세부사업별 추진현황을 보면, 교육청 부지 교환은 교육청의 반대로 오 시장이 사업계획을 결재하기 3개월 전인 2024년 3월, 1·2부시장 연석회의에서 협의 중단을 결정했다.
역사박물관 이전부지 검토는 이전 반대로 제외했고, 국립기상박물관과 서울시민대학 및 차고지에 대해서는 언급조차 없다.
이처럼 경희궁지 일대 종합 공간구상은 사실상 무산된 것으로 보이는데도 서울시는 돈의문박물관마을만 지난 8월 말 운영을 종료해 이로 인한 소송이 진행 중이다. 경희궁지 일대 역사문화공원 조성사업이 아니라 사실상 돈의문박물관마을 철거사업인 셈이다.
임 의원은 “전체 계획을 보면 추진되는 게 하나도 없는데 돈의문박물관마을만 애꿎게 분쟁이 발생해 로컬 크리에이터들의 사업이 중단됐다”며 돈의문박물관마을 운영 종료 재검토를 촉구했다.
온라인뉴스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