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대·충북도 등과 컨소시엄 구성
2027년까지 26개 과목 452억 투입
5개 대학 참여… 3년간 5만명 배출
세 기관이 구성한 컨소시엄이 2023년 교육부가 공모한 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 이차전지 분야에 선정돼 시작된 인재양성사업은 2027년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국비와 지방비 등 총 452억원이 투입된다. 이 사업의 핵심은 충북대 주관하에 인하대, 가천대, 부산대, 경남정보대 등이 이차전지 관련 교과목을 개설해 전문 인력을 키우는 것이다. 전공 제한 없이 누구나 수업을 들을 수 있다. 수업의 상당수가 온라인으로 진행돼 충북대가 개설한 교과목을 나머지 4개 대학 학생도 수강할 수 있다. 학교와 학과, 지역의 경계를 모두 없앤 좋은 사례다.
현재 이차전지분석시스템공학, 이차전지산업이슈연구, 차세대셀설계공학, 이차전지캡스톤설계, 이차전지소재평가PBL, 이차전지시스템안전PBL, 빅데이터와 이차전지진단 등 총 26개의 교과목이 개발됐다.
최근 3년간 충북대의 인재 양성 실적은 이차전지 특화 교과목을 1개 이상 수강한 교과목 이수자 1만 2799명, 부전공 개념인 마이크로디그리 이수자 257명, 일종의 복수전공인 융합전공 이수자 20명 등 총 1만 3076명이다. 이번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5개 대학의 인재 양성 실적을 모두 더하면 5만 1676명에 달한다.
충북대 관계자는 “산업 현장과 같은 수준의 장비를 갖추고 수업이 진행된다”며 “이 사업을 통해 배출된 인재들은 이차전지 기업 취업 시 교육을 따로 받지 않아도 현장에 투입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청주시는 산학 프로젝트를 통한 학점 취득 및 교육 이수증 발급, 실습 교육 환경 구축 및 운영, 이차전지 제조 장비 및 유지보수 분야 인력 양성, 특화단지 내 기업 재직자 직무 역량 향상 등도 추진 중이다.
청주 남인우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