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의 금융위기, 사회가 함께 책임져야 할 구조적 문제”
“청년이 자립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 마련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
서울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영옥 위원장(국민의힘, 광진3)은 지난 4일 서울시의회 제2대회의실에서 ‘서울시 금융취약청년 1인가구 지원정책 모색을 위한 토론회’를 개최했다.
서울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영옥 위원장과 신용카드사회공헌재단 지정 신용상담센터, 광진청년회가 공동 주관한 이번 토론회는 서울시의 청년 금융취약 문제를 진단하고, 실질적이고 지속 가능한 금융복지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기획됐다.
김 위원장은 개회사를 통해 “서울의 청년 1인가구는 불안정한 고용과 높은 주거비, 채무 부담, 사회적 고립 등 복합적인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면서 “특히 자립준비청년, 가족돌봄청년, 은둔형 청년 등은 제도권의 보호망에서 벗어나 있어, 현실을 반영한 맞춤형 금융복지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김 위원장은 “절반 가까운 청년이 대출을 보유하고 있으며, 84%가 빚을 돌려막은 경험이 있다”며 “이는 단순한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구조적 문제로서 공공의 역할이 강화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박규원 건국대 부총학생회장, 김택영 자립준비청년, 김태준 광진구 1인가구지원센터장이 자신들의 경험과 청년 금융정책 방향성에 관해 토론을 했다.
김 위원장은 “오늘 토론회가 청년의 금융 취약 문제를 단순한 개인의 부채 문제가 아닌 사회적 책임의 관점에서 접근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라며 “서울시의회는 청년이 금융위기에서 벗어나 자립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온라인뉴스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