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공사 소유인 청년안심주택(공공임대)에서 공가관리비로만 연간 6억원 지출하면서 공가는 ‘0’
공급되지 않은 물량도 공급 예정이기 때문에 공가가 아니라는 SH공사의 황당한 변명
“공공임대 청년안심주택은 진짜 안심주택, 공급대기 기간 최소화 방안 마련해야”
서울시의회 박승진 의원(더불어민주당, 중랑3)은 제333회 서울시의회 정례회 주택실 행정사무감사에서 “청년안심주택(공공임대)의 경우 제출 자료상 ‘공가 0’으로 표시돼 있음에도 연 6억원 규모의 공가관리비가 집행되는 통계·현실 괴리를 시급히 바로잡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박 의원은 “서울시 임대주택은 올해 9월 기준 31만 1389호가 공급됐고, 공가는 1965호, 공급불가는 2335호로 집계된다”면서 “표면상 공가 비율은 낮지만, 공가관리비 집행액은 연간 110억원 내외, 최근 5년간 총 604억원에 달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청년안심주택은 ‘공가 0’으로 표기되어 있으나 공가관리비가 매년 6억원 이상 집행되는 모순이 발생하고 있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이런 차이가 발생한 이유는 SH공사에서 관리하는 공가 통계에서는 예비입주자가 있거나, 공고 중인 공가를 “공급중”이라는 항목으로 따라 관리하면서 이를 공가에서 제외하고 있기 때문이다.
박 의원은 “결국 실제 청년들이 입주해 있지 않은 빈집이 존재하는데도 공가로 잡지 않으니, 입주대기자들은 ‘공가가 없다면서 왜 관리비가 드느냐’는 의문이 생기는 것”이라며 “행정편의적으로 관리하다 보니 발생한 모순이니 청년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대책을 마련하라”고 주문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박 의원은 “공가관리비로 지출되는 비용의 절반만이라도 입주자 모집 상시화, 공가 공급 인력 충원 등에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애꿎은 관리비로 지출하는 것보다 과하다싶은 정도로 대책을 마련해 청년들이 입주할 수 있도록 만들어줘야 한다”고 강변했다.
온라인뉴스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