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전국 지방자치단체 최초로 ‘제안서 온라인 평가 제도’를 시행한다고 10일 밝혔다.
이 제도의 핵심은 공공 계약에 입찰하는 기업들이 대량의 종이 제안서 대신 전자 파일(PDF)을 제출하고, 대면 발표가 아닌 화상 회의 기반의 비대면 발표로 전환하는 것이다.
그동안 입찰 기업은 정량·정성 평가 자료 각 10부를 직접 제출해야 했고, 평가 당일 사업 부서를 찾아 대면 발표를 해야 하는 등 상당한 부담을 감수해야 했다.
온라인 전환을 통해 입찰 기업은 멀리 이동할 필요가 없어지고, 한 번 제안할 때마다 평균 약 41만 5000원이 들던 제안서 제작 비용을 아낄 수 있게 됐다. 시는 연평균 348건의 협상 계약을 고려할 때, 연간 2억 9000만원가량의 불필요한 비용 절감이 가능할 것으로 추산했다.
나아가 이번 제도는 환경적 효과도 크다. 연간 약 205만 매의 A4 용지 절감 효과로 이어져 나무 205그루를 베어내지 않아도 된다.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5904㎏ 감축하는 효과도 뒤따른다.
임태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