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김도훈 의원(국민의힘)은 11월 10일 개최된 문화체육관광국 행정사무감사에서 정조대왕능행차의 추진 실태와 경기도의 역할 부재를 강하게 지적했다.
김도훈 의원은 “정조대왕능행차는 경기도를 대표하는 역사문화 브랜드임에도 도의 역할이 여전히 ‘지원자’ 수준에 머물러 있다”며 “경기도가 중심이 되어 유네스코 등재까지 책임 있게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특히 작년 행정사무감사에서 요구했던 ‘공동재현 협약문 내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추진 명문화’가 여전히 미이행 상태임을 지적했다. 김 의원은 “지난해 담당 국장이 ‘바로 추진하겠다’고 답변했음에도 올해 협약문은 2018년 버전 그대로”라며 “연구용역은 등재 전략을 위한 것이지 협약 문구 하나 고치는 데 필요한 절차가 아니다. 의지의 문제”라고 비판했다. 이어 “내년 초 공동재현 협의체 지자체들과 협의해 조속히 추진하라”고 촉구했다.
또한 김 의원은 정조대왕능행차 경기구간 운영의 불균형 문제를 제기하며 지자체 간 협력 강화를 요구했다. 김 의원은 “유네스코 등재 가능성을 높이려면 여러 지자체가 주체적으로 참여해야 한다”며 “과천처럼 을묘년 원행 노선에 포함되지 않았더라도 참여 의지가 있는 시·군이 협의체에 함께할 수 있도록 경기도가 적극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행사 예산 축소 문제도 도마에 올랐다. 김 의원은 “정조대왕능행차 지원 도비가 전년의 절반 수준으로 줄었다”며 “도비·시비 매칭 구조상 도비가 줄면 시비도 줄 수밖에 없어 행사 규모와 완성도가 후퇴한다. 내년 본예산에서 반드시 원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도훈 의원은 끝으로 “행정사무감사 처리결과에 ‘완료’로 표기된 것은 사실상 ‘검토 착수’ 수준에 불과하다”며 “이는 행정 포장에 불과하다. 내년에는 실질적 진전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정조대왕능행차 지원에 관한 조례를 12월 발의하여, 지자체장의 교체와 관계없이 경기도가 중심이 되어 능행차를 지속 지원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온라인뉴스팀















































